3대 원장 사퇴 이후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
인사 두고 경영진 사이 이견, 내부 갈등 표출
노조 “심각성 간과한다면 방법 찾을 수 밖에”
경상원 “기관장 임명과 갈등, 관련없는 사안”

경기도 산하기관 노조가 조직 정상화가 시급하다며 경기도에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 경영진 사이 갈등으로 인사가 파행을 겪는 등 내부가 분열됐다는 이유다.
20일 경기도공공기관총연합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노동조합은 성명을 통해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이 운영에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경상원 노조는 “경상원은 이재명 전 도지사가 설립한 기관으로 1대 원장이 총선 출마를 위해 사퇴했고 3대 원장이 갑작스레 사퇴하며 안정적인 경영체계가 자리잡기도 전에 기관장들이 사퇴를 거듭하고 있어 안정적인 기관 운영이 흔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 상반기 조신(3대 원장)원장 사퇴 이후 논의되고 있는 조직개편, 인사발령 등 기관경영 측면에서 서로 끊임없는 불협화음이 발생하고 있어 내부 직원들의 불안감은 고조되고 있고 행정력이 내부 갈등에 소모돼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심각한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조신 원장 사퇴 이후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경상원은 최근 인사를 두고 경영진 사이 이견이 있어 내부적 갈등이 표출된 것으로 전해진다.
노조는 “인적자원 관리와 일련의 기관 경영 및 공무집행에 사적 친밀도, 지역·정치 세력이 개입되어 좌지우지 된다고 느끼고 있어 직원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사기저하 및 무력감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상원 노조는 경영진 사이에 불화가 작용했고, 원장 공백 상황이 길어지며 경영 난맥상이 도출된 것으로 본다. 직무대행 체제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는 게 노조 측 전언이다.
노조는 “체계없는 업무보고, 방향성 없이 수시로 변동되는 업무지시, 경영관계자들간 인사·경영권 갈등 등으로 노동자들에게 불안감을 가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적인 행태로 이어지고 있어 정신적 고통과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적 치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노조 관계자는 “경영 관계자들이 이런 상황을 인지하고 내부 갈등을 해소해야 하며 만약 경기도가 이 문제의 심각성을 간과한다면 방법을 찾아나설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경상원 측은 “기관장 임명과 내부 갈등 문제는 관련없는 사안”이라고 선을 그으며 “경기도와의 협의 후 임원추천위원회를 열어야 하는데 아직 내부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 지금부터 인사 과정을 진행한다고 해도 인사청문회까지 최소 2개월은 넘게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