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에 의과대학을 둔 가천대학교와 인하대학교의 내년도 의대 입학 정원 대폭 확대가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조치에 따라 가천대가 기존 40명에서 130명, 인하대는 49명에서 120명으로 각각 증원한 2025학년도 의대 입학 모집인원안을 지난달 말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제출한데 이어 관련 학칙 개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미 학칙 개정 절차를 마무리한 인하대는 이번 주 관련 내용을 공포할 예정이며, 가천대는 2∼3일 안에 법인 이사회를 열어 학칙 개정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가천대 의대 증원은 지금보다 3.25배, 인하대는 2.5배에 가까운 규모로 지난 2020년 문재인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추진에 따른 증원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는다. 문 정부의 증원 계획안은 10년간 4천명, 1년 400명 정도였다. 당시 정원 3천58명을 바탕으로 단순 계산할 경우 예상 가능한 의대 증원 폭은 매년 13%, 두 학교 합쳐도 겨우 10명에 불과했다. 따라서 가천대와 인하대 의대의 입학 정원 대폭 확대가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인천이 수년 내 '의료취약지역'이라는 불안하고 불편한 현 상황을 탈피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지난해 보건복지부의 '치료 가능 사망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천 인구 10만명당 치료 가능 사망자는 51.49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효과적으로 치료했을 경우 사망에 이르지 않았을 환자의 비율을 의미하는 이 수치가 가장 낮은 곳은 사망자 38.56명인 서울이었다. 같은 수도권이면서도 인천과 서울의 의료 현실은 이렇게 극단적인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인천지역 두 의대의 입학 정원 대폭 확대는 수도권의 의사 불균형 현상을 보정함으로써 이 지역의 양극화된 의료 현실을 타개하는 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대목에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인천지역사회가 염원하고 있는 국립 인천대학교의 공공의대 설립에 좀처럼 돌파구가 열리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21대 국회에서 관련법이 제정될 것을 기대했으나 성과 없이 끝남으로써 결국 실망감만 더욱 키운 셈이 됐다. 강화군과 옹진군 등 의료 인력 부족으로 인한 인천지역 168개 섬 주민들의 고통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공공의대 설립은 의대 입학 정원 확대로 보장되지 않는 의료사각지대 해소의 사실상 유일한 해결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