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통 '이상 증상'… 남성 60대·여성 70대 최다


지난해 환자 진료 2만3천건 달해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꾸준히 증가
장기의 허혈, 중증질환 원인으로
체중관리 필요 채소·잡곡 등 섭취

심장질환 중 혈관과 관련된 심혈관질환은 고혈압과 당뇨, 고지혈증 등 대사성 질환과 무관치 않다. 협심증·심근경색증·심부전 등이 대표적으로 꼽히는 심혈관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인천본부의 빅데이터 분석 자료를 보면, 인천지역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요양병원, 보건소에서 지난해 협심증 등 심혈관질환 환자를 진료한 건수(심사결정분 기준)는 총 2만3천36건이다.

이 가운데 '협심증'이 3천60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만성 허혈심장병'(2천942건), '기타 심장부정맥'(2천877건), '심방세동 및 조동'(2천821건), '급성 심근경색증'(2천571건), '심부전'(2천354건) 등의 순이었다.

국내에서는 심혈관질환을 앓는 환자들이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인천에선 10년 전인 2014년(1만9천3건)을 기준으로 진료 건수가 늘다가 2019년부터 2만3천건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심혈관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60대가 4천119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70대(4천82건), 80대(3천882건), 50대(3천327건) 등이 뒤따랐다. → 그래프 참조

2024052801000287500027921

이를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60대에서, 여성은 70대에서 가장 많이 발병한 것으로 파악됐다. 남성은 30대(1천1건)부터 늘기 시작해 40~50대를 거쳐 60대(2천243건)에서, 여성은 40대(1천102건)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해 80대(2천52건)에서 각각 정점을 찍었다.

심혈관질환 중 가장 많은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폐쇄나 협착에 의해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생긴다. 가슴이 좁아진 듯 조이고 뻐근한 통증이 발생해 협심증이란 이름이 붙었다. 50세 이상의 남성이나 60대 이상의 여성의 경우 빨리 걷거나 힘든 일을 하던 중 가슴에 통증이 생겼다가 휴식을 취하면 괜찮아지는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진료를 받아봐야 한다.

동맥경화성 혈관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주요 장기의 허혈은 심근경색, 뇌경색 등 중증질환의 원인이 된다. 심근경색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통로인 심장 혈관이 갑작스럽게 막혀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응급질환이라고 질병관리청은 설명한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초기 사망률은 약 30%에 달하며, 병원에 도착해 적극적인 치료를 해도 병원 내 사망률이 5~10%에 이른다고 한다. 위험인자로는 나이(40~50대 이상), 흡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가족력 등이 꼽힌다.

규칙적인 운동과 적절한 체중 관리, 식습관 개선 등은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금연과 음주 절제, 대사성 질환 관리 등도 중요하다. 되도록이면 신선한 채소, 과일, 잡곡 등을 섭취하고 짜거나 기름진 음식 등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승재기자 isj@kyeongin.com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공하는 '병원평가통합포털(http://병원평가.kr, http://khqa.kr)'에 접속하면 '우리지역 좋은병원' 찾기 서비스를 통해 지역의 우수한 의료기관 평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심 정보로 등록한 질병이나 요양기관의 최신 평가 결과가 공개될 때 카카오톡으로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모바일 앱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평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2024052801000287500027923
2024052801000287500027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