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참여단, 정책 권고안 내놓아
'조병창 존치' 각계의견 수렴 판단
가·부결 결정후 마스터플랜 수립
인천 부평 미군기지 '캠프 마켓' 활용 전반을 다루는 시민공론화 기구 '시민참여단'이 공원 조성을 '역사적 공간'보다 '녹지·여가 공간'에 초점을 맞춰 추진해야 한다는 정책권고안을 내놓았다. 정책권고안에는 캠프 마켓 내 시설물이나 일제강점기 건축물에 대한 활용·존치 방안이 명시됐지만, 구체적 실행 기준은 제시되지 않았다.
27일 열린 인천시 캠프 마켓 시민참여위원회 회의 안건으로 시민참여단의 정책권고안이 상정됐다. 시민참여위원회는 정책권고안에 대한 추가 의견 수렴 및 협의 절차를 거친 뒤 다음 회의 때 가결·부결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 같은 절차를 거쳐 정책권고안이 확정되면, 캠프 마켓 공원 조성 전반을 계획하는 마스터플랜에 반영된다.
이번 정책권고안은 캠프 마켓 공원 조성 시 우선 고려해야 할 '가치'부터 내부 시설물 활용 방안, 일제강점기 건축물 존치 기준 등을 담고 있다. 법률·조사·숙의·소통분야 전문가 그룹 '시민공론화추진단'은 지난달 시민참여단을 216명으로 구성해 토론회·설문조사 등을 실시했으며, 여기서 나온 내용을 정책권고안으로 정리해 최근 인천시에 제출했다. 시민참여단 운영은 정책권고안 도출을 끝으로 종료됐다.

정책권고안은 캠프 마켓 공원 조성 시 '녹지 및 여가 공간으로서 가치를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가치보다 우선 고려해 추진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해 건축·환경·경제·교육분야 총 5개 안건으로 구성됐다. 공원을 만드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역사·문화·생태·녹지 등 여러 공간계획 중 '녹지'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것이다.
캠프 마켓에 있는 건축물 활용 방안에 대해선 '공원 조성에 필요한 경우에 한해 일부 보존하되 안전성과 타당성 등 객관적·종합적 검토 결과에 근거해야 한다'는 내용이 정책권고안에 담겼다. 시민참여단 대부분은 공원 조성에 필요할 경우 일부 보존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건축물 전면 철거나 보존보다는 건축물의 활용도나 가치 판단에 근거해 보존 여부를 정해야 한다는 게 시민참여단의 주된 의견이다.
캠프 마켓 B구역 조병창 병원 건물과 같은 '일제강점기 건축물의 존치를 위해서는 국가유산청·역사학계·시민단체 등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판단해야 한다'고 했다.
시민참여단은 일제강점기 건축물의 역사적 가치를 판단할 여러 주체 중 '국가유산청·역사학계 등에서 낸 의견이 중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공인된 기관에서 건축물의 존치·철거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밖에 정책권고안에는 '캠프 마켓 오염토양 정화사업 주체와 소통·협조 체계 구축 및 공원 환경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 제도 운영' '캠프 마켓 공원과 부평지하도상가 등 주변 상권 간 연계 방안 마련' '캠프 마켓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홍보' 등의 의견이 포함됐다.
인천시민이 토양오염 정화에 대해 안심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캠프 마켓 부지를 활성화시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 관련기사 ("캠프 마켓 주민휴식처로 활용… 역사적 가치도 충분히 살려야")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