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 600개사 조사
경영악화 원인 '시급 인상' 꼽아
인상 땐 '대책없음·채용축소' 순
내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하기 위한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가 지난달부터 시작된 가운데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내년도 최저임금 인하 또는 동결' 의견을 나타냈다.
2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최저임금 수준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최저임금 관련 애로실태 및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61.6%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인하(2.8%) 또는 동결(58.8%)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 그래프 참조

또한 중소기업들이 경영환경을 악화시키는 주된 요인(복수응답)도 ▲최저임금 인상(64.8%) ▲사회보험료 인상(39.5%) ▲구인난(27.7%) ▲공휴일의 유급휴일화(22.5%) ▲주52시간 강행(14.0%) 순이었다.
특히, 연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68.0%), 서비스업(64.5%)의 최저임금 인하·동결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부담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연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들은 경영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최저임금 인상'을 선택한 비율이 74.0%, 올해 최저임금 수준이 경영에 부담된다는 응답이 87.0%로, 평균보다 각각 9.2%p, 6.7%p 높았다.
서비스업도 경영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최저임금 인상', '사회보험료 지속 인상'을 선택한 비율이 각 70.0%, 43.3%였고, 올해 최저임금 수준이 경영에 부담된다는 응답도 87.0%에 달했다.
최저임금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 이상으로 인상될 경우, 대응방법에 대해 중소기업의 42.2%는 '대책 없음', 35.0%는 '신규채용 축소'라고 응답했다.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소규모 자영업 비중이 높은 우리 경제 특성을 감안해 이들 사업장의 지불여력을 고려한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며 "업종별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수용성이 다른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제는 업종별 구분적용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