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용품의 수출입액 추이 표./한국레저산업연구소 제공
골프용품의 수출입액 추이 표./한국레저산업연구소 제공

코로나19 이후 국내 골프용품 수입액이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30대 골프 인구가 급감한 데다, 신규수요 부진에 따른 재고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3일 한국레저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골프용품 수입액은 7억2천840만 달러로 전년보다 17.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골프용품의 무역수지 적자액도 5억9천30만 달러로 전년보다 22.0%나 줄었다. 골프클럽(골프채)의 무역수지 적자액은 전년보다 23.6% 감소한 4억6천740만 달러로, 전체 골프용품 무역수지 적자액의 79.2%를 차지했다.

반면 골프공의 무역수지 적자액은 전년보다 20.3% 확대된 9천370만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달했다.

원화가치로 환산할 경우, 골프용품 수입액은 지난 2022년보다 16.1% 감소한 9천500억원으로 줄었다.

골프용품 수입액을 국가별로 보면 골프클럽은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액이 2억9천370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62.2%를 차지했지만, 2022년보다는 18.8% 감소했다. 골프공의 경우 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4천480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33.1%를 차지했다.

반면 골프용품 수출액은 1억3천800만 달러로 15.2% 증가했다. 국가별로 보면 골프클럽은 일본으로의 수출액이 260만 달러로 2022년보다 3.2배 급증했고 전체 수출액의 56.7%를 차지했다. 골프공은 미국으로의 수출액이 2천750만 달러로 전년보다 4.6% 증가하면서 가장 많았고 전체 수출액의 66.1%를 점유했다.

일본을 상대로 한 골프용품의 무역적자액이 지난해 3억280만 달러로 2022년보다 19.7% 감소한 점이 눈에 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일본으로부터 골프용품을 들여온 수입액은 3억3천340만 달러로 2022년보다 17.0% 감소했다. 이중 골프클럽 수입액은 2억9천370만 달러로 전년보다 18.8% 감소했지만, 전체 일본 수입액의 88.1%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소장은 “국내 용품업계는 골프용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브랜드 이미지를 높여야 한다”며 “정부도 체육진흥기금 등을 투입해 업계의 노력을 뒷받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1~4월까지의 골프용품 무역수지 적자액은 1억9천760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29.9% 축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