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도 '무전공' 4배로 증원
"인기학과 쏠림 가중… 존속 위협"

가톨릭대 500명 이상 정원 확대에
프랑스어문화학과 학생들 반발도

일각선 "구조조정 책임 떠넘기기"
교육부 "연구장려금 등 더욱 지원"

 

ㅇㄴㅁㅇㅁㅇㅁㄴㅇㅁㄴ.jpg
교육부가 대학내 자율전공 정원을 4배 가까이 늘리면서 대학들이 사라지는 기초학문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도내 가장 증가폭이 높은 경기대 전경. /경인일보DB

교육부가 내년도 자율전공(무전공) 정원을 전년 대비 4배 가까이 늘리기로 발표한 것을 두고 대학 현장에선 기초학문이 사라질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3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전공을 흥미와 적성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자율전공의 2025학년도 선발 인원은 전년도보다 2만8천10명 늘어난 3만7천935명이다. 교육부가 전공자율선택제 추진 정도에 따라 대학교 재정지원에 인센티브를 부여한다고 발표하면서 관련 모집정원은 전년(9천925명) 대비 4배 가까이 늘었다.

경기·인천지역에서는 전공자율선택 정원이 전년대비 9천464명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증가폭은 경기대(1천598명), 단국대(1천41명), 가천대(830명) 순이다.

이를 두고 인기학과 쏠림 현상이 가중돼 기초학문이 사장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 기초학문계열 학과는 교수 충원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학과 존속을 우려하는 상황인데, 자율전공이 확대되면 비인기학과로 꼽히는 기초학문의 정원은 더 감소하게 돼 학과에 대한 지원 역시 줄어드는 수순을 밟게 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 가톨릭대학교가 전공자율선택 정원을 50명에서 591명으로 확대하자, 학생들은 기초학문 보장 등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일례로 프랑스어문화학과는 현재 정교수가 1명인데 2027년도 퇴임을 앞두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교수 충원이 이뤄지지 않아 존속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는 게 학생들의 주장이다.

재학생 A(18학번)씨는 "학교는 사회가 요구하는 학문 수요를 탓하지만, 프랑스어문화학과는 시대 흐름에 맞춰 이미 불어불문학과에서 지금의 학과로 변경한 것"이라며 "그럼에도 몇 년째 교수 충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고 계열모집도 광역모집으로 확대됐는데 결국 대학에서 인문학을 없애겠다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현재 가톨릭대는 학생들의 요구로 지난달 14일 학생처와 전체 재학생 간 공개간담회가 이뤄졌고, 오는 11일 총장과 단과대 대표자들과의 간담회도 앞두고 있다.

일각에선 교육부의 대학 자율전공 정원 확대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구조조정의 책임을 일선 학교에 떠넘기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이종복 한국사립대학교수노동조합 전 위원장은 "무전공으로 입학하면 1~2년 동안 여러 수업을 들어야 해 학생들이 대학에서 전문성을 기르기 어려운 환경"이라며 "무전공이 확대되면 기초학문 분야가 사라지는 건 당연하다. 기초학문을 보호하고 지원해야 하는 교육부가 전공 선택이라는 이름으로 구조조정의 책임을 학교에 떠넘기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교육부는 "학생들이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초학문을 융복합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기초학문의 역할은 중요해질 것"이라면서도 "인문사회계열을 보전하기 위해 연구장려금 등의 지원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목은수기자 wo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