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분 시의원, 시정질문서 제기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에 우려


유정복인천시장 제295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
국민의힘 유승분(왼쪽) 시의원이 3일 제295회 인천시의회 제2차 본회의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을 대상으로 '글로벌 톱텐 시티'와 '경제자유구역 확대' 구상에 대해 일문일답 방식으로 시정질문을 했다. 2024.6.3 /인천시의회 제공

민선8기 인천시의 핵심 공약 중 하나인 '글로벌 톱텐 시티'가 핵심 총괄 부서 없이 제각각 추진되고 있어 공회전할 것이라는 우려가 인천시의회에서 제기됐다.

4일 인천시의회 제295회 1차 정례회 2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에 나선 유승분(국·연수구3) 인천시의원은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글로벌 톱텐 시티 계획이 제대로 된 컨트롤 타워 없이 표류하는 건 아닌지 염려스럽다"고 했다. 인천시가 지난 달 발표한 글로벌 톱텐 시티는 영종과 강화 남단, 청라·송도국제도시 등 일대에 투자를 유치하고, 구도심 주요 거점을 재개발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세부적으로 보면 그린바이오 파운드리(강화 남단), 초격차 첨단 신산업 플랫폼(영종), 금융·환경산업 집적지(청라) 등 지역별 거점을 조성한다는 구상으로 인천시 내 여러 부서에 걸쳐 개별적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유승분 의원은 "현재같은 방식이라면 주무부서인 투자유치과는 각 부서 자료 취합 정도 역할에 그칠 것으로 우려된다"며 "인천을 정말 '대개조'할 계획이라면 시장 혹은 정무부시장 직속기구 정도의 컨트롤타워는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또 인천시가 글로벌 톱텐 시티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이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인천시는 강화남단(18.92㎢), 인천항 내항(6.06㎢), 수도권매립지(16.85㎢), 옛 송도유원지 일원(3.16㎢) 등 49.99㎢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받기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특구 제도 중에서도 외국인 투자와 첨단산업 등을 지역에 유치하기 위해선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천시는 오는 2026년까지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유 의원은 "무분별한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확장은 불확실성에 과도하게 베팅하는 부동산 서비스 산업 확장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짚었다.

유정복 시장은 "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을 통해 보다 더 활발한 투자유치와 지역개발사업이 이뤄지도록 하는 게 목표"라며 "타당한 이유와 경제적 효과가 달성된다는 명분 하에 (산업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 승인 신청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