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위 포석' 주관사와 MOU 추진
영암 적자 사례로 재정 악화 우려
市, 민간업체없이 직접 프로모터


ㅇㄴㅁㅁㅇㄴㅇㄴㅁ.jpg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모나코에서 열린 F1 그랑프리에 참가해 F1 관계자들과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2024.5.26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포뮬러1(F1) 대회 유치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인천시가 F1 유치 활동과 함께 타당성 검토를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인천시에 따르면 유정복 인천시장은 F1 대회 인천 유치를 위해 주관사인 FOM(Formula One Management)과 올해 하반기 MOU(업무협약) 체결을 목표하고 있다. MOU를 체결하면 F1 유치를 희망하는 해외 국가들 중 인천이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게 된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는 과거 전라남도 영암에서 열린 'F1 코리아 그랑프리' 사례를 들며 인천시의 재정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2005년부터 F1 유치를 추진해 2010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2013년까지 4년간 코리아 그랑프리를 진행했다. 당시 영암 F1 상설 서킷 경기장을 짓는 데 든 예산은 국비 728억원, 지방비 3천447억원 등 4천285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영암 F1 코리아 그랑프리는 1천900억원대의 누적 적자를 발생시켰다.

전라남도는 '엠브릿지홀딩스(MBH)'라는 민간 프로모터의 주선으로 F1을 유치했다. 이후 전라남도는 MBH를 통해 SPC 형태의 대회운영법인 KAVO(Korea Auto Valley Operation)를 설립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보증을 떠안았다. 반면 인천시는 민간 업체 없이 인천시가 직접 프로모터가 됐다.

F1 측과 접촉하는 데 (주)태화홀딩스라는 민간 기업 관계자가 도움을 줬지만 F1 대회 유치 주체는 인천시다. 개최권료 등 정확한 비용은 MOU 체결 후 협상을 통해 결정된다.

과거 영암 F1 대회에 관여했던 한 관계자는 "올림픽이나 월드컵 등 일반적인 국제대회와 달리 F1은 민간 기업에서 주관하기 때문에 유치 방식, 계약 등이 대회마다 제각각"이라며 "개최권료, TV중계권료 등 비용 협의 단계에서 재정 지출 규모와 예상 수익, 유·무형적 효과를 철저히 분석해 유치 여부를 따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