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일부 지자체 생태환경 조사
데이터 통합 관리에는 한계 지적
道 "예산과 활동 내용이 더 중요"

지역 생태계를 보호하고 다양한 생물자원을 미래세대로 이어지게 하자는 취지로 경기도가 지난 2014년 '생물다양성 보전 조례'를 제정했지만, 10년이 지나도록 관련 정책을 전담할 광역단위 센터 설립은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4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경기도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조례'가 제정됐다. 경기도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해당 조례에는 생물다양성을 조사하고 생물종 목록 구축 업무를 수행하는 생물다양성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그러나 조례 시행 10년이 지나도록 센터 설립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생물다양성 관련 자료가 통합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현정 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경기도 내 지자체 몇 곳이 도시생태현황지도를 만들어 생물종과 생태환경을 파악하고 있지만,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탓에 통합적인 보전 전략을 짜는 데 한계가 크다"며 "지자체 상황에 맞는 정책을 구상하기 위해서라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센터 설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생물다양성 정책 수립의 토대가 되는 생물종 조사 관련 예산 확보를 위해 해당 업무만 담당하는 독립적인 센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례로 울산광역시는 생물다양성 보전 조례를 근거로 2018년 생물다양성센터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는 매년 울산 전역에서 생물종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울산광역시 산하 생물다양성센터 관계자는 "시에서 수립한 생물다양성 전략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예산과 전문 인력이 배치된 센터의 필요성이 제기돼 조례를 개정해 설립했다"며 "시에서 받는 예산을 활용해 매년 울산시 전역에서 개별 (생물)분류군마다 5개 내외의 지점을 정해 전면 조사를 진행하고 DB로 축적해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도는 생물다양성 관련 사업을 위해선 센터 설립 자체보다는 구체적인 예산과 활동 내용이 더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생물종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광역도시 생태현황지도' 제작을 위한 외부 용역을 준 상황"이라며 "도 전역에 대한 생물종 조사는 예산 문제로 현실적인 한계가 있어 도립공원 3곳을 중심으로 일정 주기마다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목은수기자 wo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