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의 경기도 민선 8기 중간 점검·(2)] 기후 정책
'경기 RE100' 비전 선포식 당시
"발전 비중 30%까지 확대할 것"
대기업 협약·거래 플랫폼 구축 등
지역사회 전반에 정책 확산 노력
"기후 위기를 기회로 삼겠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까지 올리겠습니다."(김동연 경기도지사, 경기RE100 비전 선포식에서)
전력 발생 화석연료가 아닌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RE100'이란 단어가 낯설던 지난해 4월 경기도는 '경기 RE100' 비전을 선언했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를 하향(2023년 30%→21%)한 것과 대비되는 장면이었다. → 그래프 참조
지방정부인 경기도가 중앙정부보다 앞서 재생에너지 정책, 사업에 몰두한 건 '기후도지사'로 불러달라고 하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의지가 컸다. 도청사 내에서 일회용품 제로를 선언한 것이 대표적인 장면이다. 정책의 효과를 떠나 도지사부터 실천하는 의지를 보여야 산업계와 도민도 호응할 거란 뜻에서였다.
기후정책은 단순한 캠페인 구호가 아니다. 이미 세계 각국에서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생산한 제품의 수입을 금하거나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강제하는 등의 조치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경기도의 기후 정책은 곧 산업 정책이기도 하다.
경기도가 RE100 사업 중심에 두고 있는 건 태양광 발전이다. 올해 2월 의정부 경기도북부청사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했다. 작은 공공용지에 주민들이 참여한 태양광발전소를 보급할 계획이기도 하다.
경기도 산하 28개 공공기관은 RE100 이행실적을 경영평가에 반영하고 대기업과 RE100 공급 계약도 서두르고 있다. 지난해 SK E&S, 삼성전자 등과 관련 협약-계약을 맺기도 했다.
아파트나 주택에 직접 태양광을 설치하려는 주민에겐 예산을 지원하고 마을 대상으로는 에너지 자립마을, 에너지 기회소득 마을 등의 사업으로 지원한다.
생산한 재생에너지로 이윤을 거둘 수 있도록 거래 플랫폼도 구축한다. 플랫폼이 구축되면 도민이 생산한 재생에너지를 민간 기업에 팔 수 있어 재생에너지 생태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앞서 말한 것처럼 경제계에서 재생에너지를 생산에 반영하도록 한 규제가 수출 등에 제약이 될 수 있는만큼 중소기업의 에너지 사용 패턴 분석, 탄소 배출량, 개선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컨설팅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지난 2022년 12월 일회용 플라스틱 제로를 선포한 이후 경기도부터 솔선수범해 31개 시군까지 확산하는데 힘쓰고 있기도 하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