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준공 앞두고 공사 마무리 단계 돌입

설계 단계부터 체크인 카운터 사용 의견
대한항공·아시아나 '결합 심사' 진행중

공사 "시스템 점검… 일부 빈 채로 오픈"

오는 11월 개장 예정인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확장 구간을 이용할 항공사가 아직 정해지지 않아 '반쪽 운영'으로 출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연면적 38만7천㎡에서 73만4천㎡로 늘리는 사업이 오는 11월 준공될 예정이다.

개장 5개월여를 앞두고 마무리 공사가 진행 중이지만, 확장 구간에 있는 5개 체크인 카운터를 이용할 항공사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개장 당시 이곳을 사용할 대한항공이 설계 단계부터 참여한 것과 비교하면 선정 작업이 상당히 지연되는 것이다.

제2여객터미널 확장 구간을 이용할 항공사가 정해지지 않은 이유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심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인천공항공사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통합하면 효율적인 환승이 이뤄질 수 있도록 통합 항공사에 제2여객터미널을 배정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기존 제2여객터미널은 대한항공이 이용하고 있으며, 확장 구간에는 제1여객터미널을 사용하고 있는 아시아나항공이 이전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 3월 인천시청에서 열린 민생 토론회에서 통합 후 아시아나항공을 제2여객터미널에 배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은 14개 필수 신고국 중 13개 경쟁당국의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미국 승인만을 남겨놓고 있다. 애초 미국 경쟁 당국(DOJ)의 승인 여부가 이달 말께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시기가 연말로 늦춰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DOJ 측은 "유럽연합이 통합 승인 조건으로 내세운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부문 매각 등의 진행 상황을 보고 승인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부문 매각 절차가 마무리되는 10월께나 돼야 양사의 합병이 결정될 전망이다.

인천공항공사는 기업결합 절차가 마무리되기 전에는 아시아나항공의 제2여객터미널 이전이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터미널을 바꾸려면 이사회 의결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아시아나항공은 현재 산업은행이 대주주인 상황이어서 큰 비용이 드는 터미널 이전 작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게 인천공항공사 관계자 설명이다.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업결합이 확정되면 서둘러 이전할 수 있도록 여러 발권 시스템을 시험하고 있다"며 "(제2터미널 확장 구간 개장 후) 승객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전환 작업을 차질 없이 진행해 놓겠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