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인적자원 체계 보고서
기존 민간 교육과정 다각화 필요
국내·외 정비자격 중급이상 배출
인천국제공항을 거점으로 항공MRO(정비·수리·분해조립) 산업을 육성하려면 숙련된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2027년까지 인천 항공MRO 산업에 투입돼야 할 인력 규모는 최소 2천명으로 추산된 만큼 교육, 취업, 장기 재직이 이뤄질 수 있는 체계 구축과 제도적 유인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연구원은 13일 공개한 '인천 항공MRO 단지 조성을 위한 인적자원 육성 체계 마련' 보고서에서 대규모 인력 수요를 충족할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항공MRO는 항공기를 검사하고 엔진·구성품 정비, 부품 인증, 개조 등을 맡는 산업이다. 전 세계 시장 규모만 지난해 기준 939억 달러(약 129조원)를 넘어서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는 산업 생태계 기반이 미비해 인적 자원 양성이 시급하다.
인천연구원은 항공MRO 인력 육성을 단기·중장기로 구분해 단순 정비 기능 인력을 전문 기술 인력으로 키워나가야 한다고 했다. 기체·엔진 등 부품 정비에서 최근 수요가 늘어난 성능 개량·개조 등으로 항공MRO 산업 영역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려면 고숙련 인력을 키워내야 한다는 얘기다.
단기적으로는 기존 기체 정비 중심의 항공MRO 민간 교육과정을 최근 수요가 늘어난 엔진 정비, 항공기 개조 등으로 다각화하고 항공기 개조사업, 중정비센터, 엔진정비 공장 등 운영에 필요한 인력을 육성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중급자 이상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대학교에 항공MRO 관련 학위 과정을 도입하는 등 지속적으로 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봤다. 국내는 물론 유럽의 항공정비 자격인 EASA 등을 취득할 수 있도록 교육기관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항공정비의 경우 EASA와 미국 FAA 자격을 갖추면 전 세계 어디서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국내 항공정비사 자격은 항공안전법에 따라 국토교통부로부터 자격 증명을 받으면 획득할 수 있다.
인천연구원은 보고서에서 "현재 항공MRO 인력은 고등학교, 사설교육기관, 전문대 등을 통한 초급 인력 양성을 중점으로 한다"며 "국내외 항공정비 자격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설계해 중장기적으로 중급 이상 인력을 지속 배출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인천시는 올 하반기부터 항공MRO 기업체와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갖고 인력 확보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또 항공MRO 인력 양성을 맡고 있는 교육기관·기업과 학과 개설에 대해서도 협의할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항공MRO가 단순 정비 업무가 아닌 전문성을 쌓아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직군이라는 점을 부각할 것"이라며 "항공MRO 교육생들로부터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점을 파악했다. 이들의 요청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기회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인천에서는 이르면 2027년부터 국내외 항공MRO 기업들이 잇따라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국내 항공MRO 기업 샤프테크닉스케이와 IAI가 합작법인을 설립해 노후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는 사업에 나선다. 세계적 항공화물 전문 기업인 미국 아틀라스항공도 특송화물기 전용 정비시설을 운영하기로 했다. 2028년에는 부천에 있는 대한항공 엔진정비센터가 인천으로 확장 이전한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