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공공분야 확산' 선정 국비 10억 확보… 포인트 일원화 구상
인천시가 자원순환가게·무인회수기 사업에 시민들이 원활히 참여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로 했다.
개발에 드는 비용은 국비로 확보해 오는 12월까지 앱을 구축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공모한 '2024년 지역 블록체인 공공분야 확산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10억원을 확보했다고 18일 밝혔다.
인천시는 이 국비로 '에코허브플랫폼' 앱을 개발할 예정이다. 에코허브플랫폼은 인천자원순환가게·무인회수기 이용 시 지급되는 포인트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앱이다. 인천자원순환가게는 시민들이 깨끗이 세척한 후 분리해 재활용품을 가져오면, 재활용품 무게만큼 포인트를 돌려주는 곳이다.
무인회수기는 세척된 투명 페트병을 배출하면 1개당 10원의 포인트를 받을 수 있는 기계다. 인천자원순환가게와 무인회수기는 운영 업체가 다르다. 인천자원순환가게의 업체는 종류가 여러 개고, 무인회수기 역시 마찬가지다. 시민들이 자원순환 포인트를 받으려면 업체별로 각각 다른 앱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인천시는 시민들이 하나의 앱만 설치해 이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앱을 개발한다. 업체별 포인트 적립과 적립 현황 확인 등을 하나의 앱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일원화한다는 구상이다.
인천시는 이 앱에 블록체인 기술(분산신원증명·DID)을 적용해 보안을 높일 계획이다. 자원순환가게에는 사물인터넷(IoT) 장치를 도입한다. 자원순환가게에서 재활용품 무게를 재면 현재는 수기로 수치를 입력하고 있는데, 사물인터넷 장치를 도입하면 에코허브플랫폼 앱에 자동으로 무게가 기록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우선 올해 말까지는 자원순환가게와 무인회수기 중심으로 앱을 개발하고, 이후 앱 적용 범위를 민간 자원순환 활동 등으로 더욱 넓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