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뜰공영주차장 동편 여유 부지·現 청사 본관 리모델링 '조율'


20240618010001848_1.jpg
인천시 신청사 조감도. /인천시 제공


전쟁 등 비상사태 발생시 필수 시설인 '정부기관 비상대피시설'(충무시설)을 빼놓고 신청사 건립을 추진하던 인천시(6월18일자 1면 보도=행정안전부는 몰랐던 인천시 신청사 '충무시설 누락')가 대안을 마련 중이다.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애뜰공영주차장' 동편 부지 지하를 활용하는 방안과 현재 시청사 본관 건물을 리모델링 후 사용하는 방안 등 두 가지 안을 두고 검토 중이라는 것이 인천시 설명이다.

19일 인천시 관계자는 "신청사 설계에서 반영되지 않은 충무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두 방안을 두고 검토 중"이라며 "관계부서에서 조만간 사전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애뜰공영주차장 동편에는 여유 부지가 있다. 이곳 지하에 충무시설을 설치해 신축 청사와 지하 공간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는 신청사와 충무시설 확충 사업을 별개 사업으로 추진하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공사는 동시에 진행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청사 본관 건물에 충무시설을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신청사 건립 이후 본관 리모델링을 추진해 본관 건물 지하와 지상 1층에 법령이 정하는 기준의 충무시설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충무시설 관련 규정은 1m가 넘는 콘크리트 두께에 화생방·EMP(전자기펄스) 공격 등에도 방호가 가능한 수준을 갖춰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천시 본청 상주인원은 인천소방본부를 포함해 2천400여명 수준인데, 비상시에 적어도 3분의1 이상 인원의 동시 근무가 가능하도록 공간을 갖춰야 한다. 시설 확충에는 250억~26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신청사 건립과 관련 행안부 중앙투자심사에서 2천848억원으로 공사비 상한선이 정해짐에 따라 불가피하게 충무시설을 설계에서 제외하고 신청사와 별도로 사업을 추진하려 했다"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