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등 전략자산 안보화 '탈중국'
인천청 '첨단융복합단지' 추진
강화남단, 경제구역 지정후 조성
공급망 조정에 따른 새 투자처로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바이오, AI(인공지능) 등 핵심 전략자산에 대한 안보화 경향이 인천경제자유구역의 투자 유치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탈중국·글로벌 공급망 재조정에 따른 투자 유치를 위해 첨단 융복합 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인천경제청은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으로 향하던 AI나 반도체 등의 투자 수요가 아시아권 다른 국가로 이동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 이를 끌어오기 위한 대규모 첨단산업단지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송도·청라·영종국제도시를 비롯해 경제자유구역 확대 예정지인 강화도 남단 등에 3단계에 걸쳐 330만㎡ 규모의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우선 1단계로 33만㎡의 시범 단지를 만들고, 강화 남단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297만㎡ 규모의 추가 산업단지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바이오 분야의 경우 이미 인천 송도를 중심으로 국내 최대 클러스터가 조성돼 있는 만큼 추가 투자 유치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인천경제청은 내다봤다.
최근 미국은 특정 중국 바이오 기업의 거래를 금지하는 '생물보안법'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 법이 미국 의회를 통과하면 삼성바이오로직스나 셀트리온 등 국내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게 관련 업계의 전망이다.
실제로 최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세계 최대 바이오산업 전시회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서 중국 최대 바이오 기업 중 한곳인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참가하지 않았다. 우시바이오로직스는 매년 열리는 이 행사에 대형 부스를 마련해 참가했지만 미국의 생물보안법 입법이 가시화하면서 올해는 참가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반도체, AI 기술 분야에서도 중국에 대한 미국의 견제는 심화하고 있다.
오는 26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인 한미일 산업장관회의에서는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산업 공급망, 기술안보, 핵심광물, 바이오, 에너지 등의 의제가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탈중국과 공급망 재조정에 따라 새로운 투자 유치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국내 최대 경제자유구역이 위치한 인천이 선제적으로 대응해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