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01000275200028271

팅커벨이 떠나니 러브버그다. 지난 5월 일명 팅커벨로 불리는 동양하루살이가 사람들을 괴롭히더니 6월엔 러브버그(lovebug·붉은등우단털파리)가 떼로 출몰했다. 러브버그는 암컷과 수컷이 꼬리를 붙인 채 낮은 고도에서 비행한다. 수컷이 죽을 때까지 꼭 달라붙어 다니니 외도할 틈이 없다. 인간계로 치면 철저한 일부일처제다. 커플로 무리지어 다니면서 검은 머리와 가슴·붉은 배를 시도 때도 없이 들이대니 갑작스러운 대면에 사람들은 소스라친다.

주로 산속에 서식하던 러브버그가 어떻게 도시로 진출했을까. 전문가들은 주요 먹이인 토양의 부식질과 낙엽이 썩을 때 나는 냄새가 배기가스와 유사해 본능적으로 자동차에 끌린 것이라 분석한다. 이제 도심 속 매장의 쇼윈도에 붙어있는 것도 모자라 내부까지 휘젓고 날아다니니 가뜩이나 불경기에 심기 불편한 상인들은 뿔이 난다. 차량 불빛에도 겁 없이 달려들어 사체가 유리창과 전조등을 뒤덮기도 한다. 오래 방치하면 부식의 원인이 되니 세차하기도 번거롭다.

사람을 귀찮게 하는 러브버그는 벼나 보리를 갉아먹는 멸강나방, 토마토·감자 줄기에서 즙을 빨아먹는 꽈리허리노린재 등과는 달리 익충(益蟲)이라는 게 반전이다. 독성도 없고 사람을 물거나 질병을 옮기지도 않는다. 오히려 낙엽과 유기물을 분해하고, 꽃꿀을 먹고 꽃가루를 옮겨 수분을 돕는 쓸모 있는 벌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8년 인천에서 처음 발견됐다는 기록이 있다. 자연 유입보다는 무역 라인에 편승해 유입됐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4년 만인 2022년 수도권 서북부 지역에서 크게 늘더니 지난해에는 수도권 전역으로 퍼졌다. 작년 첫 러브버그는 6월 15일 서울에서 발견됐는데 올해는 이른 폭염으로 13일이나 빨라졌다. 지구온난화 심화로 한반도 기후가 아열대성으로 변한 탓이다. 서울은 러브버그가 서식할 수 있는 북방한계가 됐다. 이제 매년 초여름 불청객들과의 공존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온라인에서 러브버그 퇴치 꿀팁들이 공유되고 있다. ▲밝은색 보다 어두운색의 옷을 입어라 ▲살충제 대신 물이나 빗자루 등으로 제거해라 ▲야간 조명의 밝기를 낮춰라 ▲불빛 주변에 끈끈이 패드를 설치하라 등등. 이름 만큼 사랑스럽지 않은 러브버그 소동에 이상 기후 시대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강희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