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주택·고령층 밀집 영향… 지하·옥탑방 거주할수록 위험 노출


인천 미추홀구가 인천 10개 군·구 중 여름철 침수·폭염 등 기후위기에 가장 취약한 주거지로 조사됐다. 연수구·서구 등 신도시와 달리 노후 주택이 밀집되고 고령층 비율이 많은 구도심은 전반적으로 기후위기 대응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2일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인천사서원)이 발표한 '인천시 기후위기 취약계층 지원 방안' 보고서에는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 이번 보고서에는 기후위기 취약계층의 거주환경·신체 특성, 인천시·사회복지시설 지원 사업, 기후위기 현상별 지원 방안을 연구한 내용이 포함됐다.

기후위기 취약계층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역별 거주 환경 취약계층 분포 비율'을 살펴보면 미추홀구는 지하·옥탑방 거주 계층 비율이 10개 군·구 중 가장 높은 3.1%로 집계됐다. 이어 계양구(2.9%), 남동구(2.7%) 순으로 조사됐다. 지하나 옥탑방에 사는 주민은 여름철 이상 기온에 따른 집중호우, 폭염 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장애 여부 등으로 분석한 비율로는 고령층 인구가 밀집된 동구가 10.9%로 가장 많았고 강화·옹진군이 10.1%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기후위기 취약계층의 거주 환경, 신체적 취약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구도심이 신도시보다 기후위기 대처 능력이 떨어져 지역별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기후위기가 취약한 지역은 구도심인 미추홀구·중구·동구·강화·옹진군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신도시로 주거지가 비교적 최근 조성됐고 침수방지시설 등 기반시설이 충분한 연수구·서구는 기후위기 대처 능력이 높았다. 인천사서원은 이 같은 이유로 도시 인프라 발달, 노후화 정도가 기후위기 대응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인천사서원은 지역별 기후위기 대응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점검 등 민관 지원 체계 구축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밖에 주거환경 개선, 기후위기 교육, 대피공간 마련, 풍수해보험 확대 등도 대책으로 제시됐다.

이번 연구를 맡은 신상준 인천사서원 부연구위원은 "기후위기 취약계층 지원에 가장 중요한 주거 환경 개선을 포함해 지속해서 피해를 예방하는 대응책이 필요하다"며 "정부, 기관의 역할을 보완하기 위해 민간 사회복지시설이 취약계층을 지속해서 점검하는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인천지역 연간 폭염 일수는 2019년 기준 6.8일에서 2040년 최소 16.1일, 2060년 21.7일로 10년간 2.17일씩 증가할 전망이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