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평균 연체대출비율 11.46%
PF대출 등 영향… 1년새 2배 증가
손실비 추가 적립제 시행도 부담


인천지역 저축은행들의 평균 연체율이 두 자릿수를 넘겼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채무뿐 아니라 개인사업자의 연체율도 올해 들어 높아진 영향이다.

3일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인천에 본점을 둔 저축은행 4개사(금화·모아·인성·인천)의 올해 1분기 평균 연체대출비율(연체율)은 11.46%다. 지난해 1분기 평균 연체율은 5.61%였는데, 1년 사이 두 배가량 높아졌다. 올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평균 연체율(8.8%)보다도 높다.

연체율 상승은 지난해 저축은행의 건전성 악화 요인으로 꼽힌 부동산 PF대출과 함께 개인 신용대출, 자영업자 등 PF 외 대출의 연체율이 급격히 높아졌기 때문이다.

인천지역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5.71%에서 올 1분기 9.07%로 상승했다. PF 외 대출 연체율도 11.9%로, 1년 전보다 두 배 이상 높아졌다.

PF 외 대출의 연체율 상승은 이자를 갚지 못한 개인사업자가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코로나19 이후 개인사업자들이 아파트 등 주택이나 상가를 담보로 2년 이상의 장기 대출을 많이 받았는데, 이후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로 빚을 감당하지 못한 탓이다.

나이스신용평가 이정현 수석연구원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저축은행) 건전성 관리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했다.

연체율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저축은행들도 자기자본(BIS) 비율을 끌어올리고 있지만, 침체기가 길어지면 손실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인천지역 저축은행 4개사의 BIS 비율은 지난해 1분기 17.1%에서 올해 19.1%로 높아졌다. 금융당국이 설정한 저축은행의 BIS 비율 법정 기준은 자산 1조원 이상일 경우 8%, 자산 1조원 미만이면 7%다.

인천 A저축은행 관계자는 "경기 침체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법정 기준의 두 배 이상으로 BIS 비율을 맞춰 대응하고 있다"며 "당장은 손실을 견딜 여력이 있지만, 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하면서 수익이 줄어든 만큼 이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중소 규모 은행은 버티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다중채무자들을 대상으로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하는 제도가 7월부터 시행된 것도 업계에는 부담이다. 과거에는 카드사와 신협·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기관에 한해 다중채무자에 대한 충당금을 적립했는데, 이달부터 저축은행도 대상에 포함됐다.

이정현 수석연구원은 "저축은행 주요 이용자의 신용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 하반기 저축은행의 추가 충당금 부담이 증가할 전망"이라며 "회사 자체 여력이 부족할 경우 계열로부터 유상증자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