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 영역으로 동물복지 분야가 들어온 건 비교적 최근이다. 반려동물 보호 및 유실·유기 방지를 위한 동물등록제 도입은 겨우 10년 됐고, 동물학대 유형을 세밀하게 규정한 것도 오래전 일이 아니다. 시대 분위기가 그랬다. 이 무렵 전통시장에서 닭·흑염소 도축시설이 폐쇄되고 이름난 '개시장'이 하나둘 사라졌다.
푸바오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동물에 사람의 감정을 이입하는 건 일반적인 현상이 됐다. 2000년대 초중반쯤만 해도 반려동물을 사람과 다름없이 대하는 게 이질적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요즘 그런 문화를 존중하지 않다가는 비반려인에게까지 비판받을 각오를 해야 한다. 명백한 시대 변화다.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는 실험이 김포에서 일어나고 있다. 전국 최초로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반려동물 공공진료센터가 문을 열었다. 저렴하게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직장인들을 위해 야간진료까지 하는데, 몇 주 치 예약이 마감될 만큼 시민들 반응이 뜨겁다. 축산·방역을 넘어 반려문화까지 공공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김포시의 시도가 성공할지는 아직 예측할 수 없다. 다만 타 도시 주민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는 사실은 인터넷상에서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취임 초부터 "태어나서 죽은 이후까지 반려동물을 사람과 똑같은 존재로 본다"고 강조해왔다. 올해 김포시에는 반려동물 쉼터와 문화교실, 명예동물보호관 등의 업무를 전담하는 반려문화팀이 생겼다. 김 시장은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다. 반려동물에 대한 이해가 깊고 반려문화를 존중하는 철학이 확고할 뿐이다. 여기에 시민들의 상상을 현실로 만들겠다는 의지가 더해져 반려동물 진료센터라는 전례 없는 정책이 시작됐다. 성공을 바라는 이들이 적지 않다.
/김우성 지역사회부(김포) 차장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