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금주 의뢰… 10월초 결과
내년 상반기 착공 2027년말 준공
市, 국비 없이 사업비 전액 부담
연수구·구의회 등 민간매각 반대
인천시립박물관·미술관 등이 들어설 복합문화예술 플랫폼 '인천뮤지엄파크' 건립 사업이 본격 속도를 낸다. 인천시가 '빚'으로 충당해야 하는 사업비 부담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와 행정안전부가 요구하는 인천시립박물관 부지 매각 등은 앞으로 풀어가야 할 과제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이번 주 행정안전부에 인천뮤지엄파크 건립을 위해 2차 중앙투자심사를 의뢰할 계획이다. 심사는 오는 9월 중 이뤄지며, 10월 초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2차 중투심 통과 후 내년 상반기 착공해 2027년 말까지 인천뮤지엄파크를 준공하겠다는 것이 인천시 목표다.
인천뮤지엄파크는 디씨알이(DCRE)가 용현·학익 1블록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인천시에 기부채납한 미추홀구 학익동 587-53번지 일원 4만1천170㎡ 부지에 건립된다. 지하1층·지상2층, 연면적 3만9천625㎡ 규모다. 인천시립박물관 확장·이전, 인천 최초 시립미술관 개관, 예술공원 조성 등의 내용이 담겼다.
2차 중투심에서는 인천뮤지엄파크 사업비가 소폭 올라 인천시의 재정 부담이 더 커졌다. 지난 2021년 1차 중투심 당시 인천뮤지엄파크의 비용대비편익(B/C)값은 0.115로 기준치(1.0)에 미치지 못해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인천뮤지엄파크 사업비도 당초 2천775억원에서 2천14억원으로 축소됐는데, 인천시는 그동안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해 투입 비용을 340억원 늘렸다.
인천시는 인천뮤지엄파크 전체 사업비 2천354억원 중 늘어난 비용 340억원을 포함한 1천538억원을 자체 재정으로 부담하며, 나머지 816억원은 지방채를 발행한다. 인천시는 올해 지방채로 348억원을 마련했으며, 2025년 272억원, 2026년 196억원 등 순차적으로 추가 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다. 시립박물관·미술관 등은 지난 2019년 정부의 지방이양사업 전환에 따라 국비 지원이 없어 사업비 전액을 인천시가 부담해야 한다.
행안부는 1차 중투심 승인 당시 인천뮤지엄파크로 이전 예정인 인천시립박물관의 부지와 건물을 매각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을 붙였다. 전액 시비로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인천시의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다. 인천시는 이번 2차 중투심에서 인천시립박물관 부지·건물 매각 의사를 밝히고, 2027년쯤부터 매각 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연수구와 연수구의회 등은 인천시립박물관의 역사성과 상징성 등을 고려해 민간 매각을 반대하고 있다. 연수구 관계자는 "인천시립박물관의 이전을 반대하는 게 아니라 해당 공간이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공공 목적으로 쓰여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2차 중투심에 집중해 내년 상반기 착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인천시립박물관 부지 매각은 공공 및 민간 중 어디를 대상으로 할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추후 연수구와 지역사회 등과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