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 개선안이 나왔다. 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을 인천도시공사에 맡기는 '공공 위탁' 방식을 유지하면서 도시재생사업의 시민 체감도를 높이겠다는 게 뼈대다. 인천시는 개선안 마련을 위해 공공 위탁·민간 위탁·재단 설립 등을 검토했는데, 공공성과 도시재생 관련 전문성을 갖춘 인천도시공사에 맡기는 게 적합하다고 봤다. 이로써 인천도시공사가 2027년까지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운영하게 됐다. 인천도시공사는 도시재생지원센터가 개소한 2018년부터 운영을 맡고 있는 만큼 충분한 노하우를 갖고 있다.
인천시가 내놓은 도시재생지원센터 개선안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사후 관리 강화'다.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지원하는 사업은 저층 주거지·더불어 마을·새뜰마을 등 소규모가 많다. 이들 사업은 흔히 생각하는 '전면 철거 후 재개발'과 성격이 다르다. 마을 공동체를 활용해 주민 주도로 도시재생을 꾀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마을 공동체와 지역 거버넌스 구축을 중시하는 이유는 '지속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인데, 마중물 사업이 끝나면 공동 이용시설 활용도가 낮아지거나 주민 활동이 흐지부지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래서 사후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마중물 사업 또한 의미가 무색하다. 늦은 감은 있지만 인천시가 '도시재생사업 사후 관리 조례'를 만들어 사후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고 하니 다행이다.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을 주도할 수는 없다. 마을 공동체가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컨설팅·모니터링 등 지원 체계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 예산이 한정돼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나눠 먹기식으로 사업 건수를 늘리는 것도 지양해야 한다.
인천은 경제자유구역 개발 등으로 신도시와 구도심 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구도심 주요 거점을 주거·산업·관광단지로 탈바꿈하는 대규모 재생사업도 진행되고 있지만, 모든 구도심을 이 같은 방식으로 재개발할 수 없다. 전면 철거 후 재개발 방식은 주민 간 이해관계가 갈려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원주민이 내쫓기는 부작용도 있다. 반면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지원하는 사업들은 무너진 공동체를 세우면서 지역의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한다는 순기능이 있다. 인천시가 마련한 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 개선안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기반을 만들고 마을 공동체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