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직한 교사들의 슬픔과 아픔이 무의미하지 않도록 제도 개선이 명확히 이뤄져야 합니다.”
김포시 한 중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 A씨는 ‘서이초 사건’ 이후 목소리를 내지 않으면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는 걸 깨달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교사들은 여전히 과중한 행정업무에 시달리면서 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도 홀로 감당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18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악성민원과 업무과중에 시달리던 신규교사가 숨진 채 발견된 서이초 사건 1주기를 맞아,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앞에서 추모문화제를 개최했다.
이날 경기지역 교사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문화제에서 이들은 서이초 사건 이후 교사의 교육할 권리에 관한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이 마련됐지만, 여전히 학교 현장은 바뀌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과천시에서 근무하는 한 특수교사는 “장애 학생을 지도한다는 이유로 온갖 잡무가 쏟아져 4월까지 정시퇴근을 한 적이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타인과의 관계가 신뢰가 아닌 불신으로 구성된 학교는 가르침의 공간이 될 수 없다”며 “교육당국의 구체적인 교권보호 해결책과 서이초·호원초 교사 사망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교사를 민원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에서 나아가 시민으로서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정진강 전교조 경기지부장은 “교사들이 학생들을 잘 가르치고 싶은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교사의 생존권과 교육할 권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교사가 실제 학교 현장을 바꾸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정치참여 활동과 노동기본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