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비중 높아… 본청약으로 물량 전환

서울시 송파구 장지동에 마련된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접수처에서 수요자들이 정보를 얻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 송파구 장지동에 마련된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접수처에서 수요자들이 정보를 얻고 있다. /연합뉴스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당첨자 가운데 20%는 청약자격을 갖추지 못해 부적격 처리되거나 당첨자 지위를 스스로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혼희망타운의 사전청약 당첨 취소·포기자가 많았다.

22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금까지 3기 신도시인 고양 창릉, 남양주왕숙, 부천대장, 인천계양, 하남교산에서 이뤄진 사전청약 당첨자는 모두 1만9천392명이다.

이들 중 지난 9일 기준 3천998명이 당첨이 취소됐는데 전체 당첨자의 20.6%를 차지한다. 주로 ▲소득·자산기준, 특별공급 유형별 자격 등을 갖추지 못해 부적격 처리 ▲다른 주택 구입 등으로 당첨자 지위 포기 ▲예비신혼부부 자격으로 신혼부부 특별공급에 당첨된 뒤 혼인관계증명서 미제출 등으로 취소됐다.

3기 신도시 중 사전청약이 가장 많이 이뤄진 곳은 남양주왕숙으로 왕숙1(5천256가구)과 왕숙2(3천247가구)를 합쳐 8천503가구다. 남양주왕숙 사전청약 당첨자 중 당첨취소·포기자는 1천489명으로 당첨자의 17.5%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사전청약 규모가 4천893가구인 고양 창릉으로, 793명(16.2%)이 당첨 취소·포기했다. 인천 계양은 사전청약 당첨자 2천250명 중 619명(27.5%)이, 부천 대장은 2천238명 중 545명(24.4%)이, 하남 교산은 1천508명 중 308명(20.4%)이 각각 당첨을 취소·포기했다.

사전청약 당첨 취소·포기 물량은 본청약 물량으로 나온다. 오는 9월에는 2021년 8월 사전청약을 진행한 인천 계양 A2·A3 블록에서 3기 신도시 첫 본청약이 이뤄진다.

총 747가구인 A2 블록에서는 사전청약 적격 당첨자를 제외한 183가구가, 359가구(공공분양주택) 규모인 A3 블록에서는 121가구가 본청약 물량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나눔형·선택형 등 공공분양주택 유형 중에서도 신혼희망타운 사전청약 당첨자의 당첨 취소·포기 비율이 높았다.

남양주왕숙2 A2·A24·A20 블록 신혼희망타운은 사전청약 취소·포기 비율이 평균 39%이었고, 인천계양 A17 블록 신혼희망타운의 비율도 35.6%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