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등과 협의 주택 지원
2028년까지 110가구 운영
저해요소 등 분석·추적조사
'맞춤형 서비스'에 활용
시각장애인 A(62)씨는 2022년 12월 장애인시설에서 나와 인천시가 마련한 '장애인 지원주택'에서 살고 있다. 코로나19 시기 정부가 장애인시설 외출 제한 조치를 내린 게 '탈(脫)시설'의 계기가 됐다. 자립 교육을 2년간 받은 뒤 시설 밖으로 터전을 옮겼다.
현재는 자신의 집에서 혼자서 요리도 하고, 장애인활동지원사 도움을 받아 인천대공원에 산책을 가기도 한다. 그는 "스스로 규칙을 세워 나만의 삶을 살아간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하다"고 했다.
24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장애인 58명이 시설에서 나와 자립 생활을 하고 있다. 이 중 28명은 인천시의 장애인 지원주택 사업을 통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매입임대주택에 거주 중이다.
자립 장애인은 시설에서 지내다가 본인 의사로 퇴소했거나, 시설에 들어가지 않고 주거 독립을 통해 스스로 살아가는 이들을 지칭한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산하 기관인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를 통해 탈시설 장애인의 지역사회 준비와 정착을 돕고 있다.
인천시는 인천도시공사 및 LH와 협의해 장애인 지원주택을 확대할 계획이다. 자립을 원하는 장애인 수요를 파악한 후 올해 장애인 대상 매입임대주택 20가구를 추가하고, 2028년까지 전체 110가구의 장애인 지원주택을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인천의 경우 23개 장애인시설에 715명의 장애인이 거주 중이다. 인천시는 현재 58명의 자립 장애인을 2028년까지 75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는 올해 하반기부터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을 위한 연구를 실시한다. 인천시 자립 장애인 58명 중 약 20명을 대상으로 자립 과정을 살펴보고, 장애인 자립을 저해·촉진하는 요소를 분석할 예정이다.
또 장애인 지원주택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립 장애인의 상황과 생활 변화 등을 추적 조사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는 장애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발, 장애인 자립 사업 추진 근거 등으로 활용된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 관계자는 "장애인 지원주택 사업은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중요한 접근"이라며 "인천지역 장애인들이 지역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