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백수들이 400만명을 넘는단다. 대졸 백수라는 단어의 어감이 최근 졸업자를 말하는 듯 착시를 불러와 당혹스러운 수치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대학(전문대 포함)을 갓 졸업한 청년부터 60세 이상까지 포함된 통계다.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비경제활동인구는 올 상반기 월평균 405만7천833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만2천명 늘어, 1999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상반기 최고점을 찍었다. 전체 비경제활동인구는 올해 상반기 총 1천616만6천명인데 대졸 이상 비율이 처음으로 25%를 넘어섰다. 대학 진학률이 이미 70%를 넘어선 마당에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청년들은 졸업과 동시에 '백수 입학'이다. 입시경쟁을 뚫고 대학을 입학하자마자 취업 준비를 시작해도 그렇다. 재학생들은 백수가 두려워 졸업을 미루니, 휴학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지 오래다. 올 5월 기준으로 휴학한 적이 있다는 비율은 46.8%, 대학 졸업 소요 기간도 4년 3.8개월로 역대 최장이다.
청년들은 첫 직장을 잡기까지 평균 11.5개월을 백수로 지낸다. 지난해보다 1.1개월 또 늘었다. 대졸 이상은 8.3개월, 고졸 이하는 1년 5.6개월이다. 이중 3년 이상 걸린 '취업 삼수생'이 9.7%나 된다니 취업의 벽을 실감하게 된다. 어렵게 취업에 골인해도 10명 중 3명은 1년 이하 계약직이다. 시간제 근로 비율도 23.4%로 최고 수준이다. 60%는 첫 월급이 200만원 미만으로 박봉에 쪼들린다. 월 200만~300만원은 35.2%, 300만원 이상은 5.1%뿐이다. 첫 일터에서 사표를 던지는 이유 중 45.5%가 열정페이·근로조건 불만족이라니 수긍이 간다.
대졸 청년들은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느라 백수 생활을 감수한다. 실력과 운으로 좋은 직장에 들어가도 행복은 잠시뿐이다. 정년을 한참 남겨둔 선배들이 등 떠밀려 은퇴하는 모습에서 불안한 미래를 직감한다. 조기 퇴직자 앞에 열린 100세 시대는 축복이 아니라 악몽이다. 정년퇴직의 행운을 누려도 100세를 누리려면 다시 일을 시작해야 할 사람이 태반이다. 올해 상반기 70대 이상 취업자가 1년 전보다 15만명 늘어난 192만5천명이다.
삶의 주기와 어긋나는 고용 구조에 밀려난 대졸 백수들이 세대별로 쌓여 400만명이다. 고장 난 한국경제를 보여주는 충격적인 지표다.
/강희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