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경기중서부지부, 조합원 조사


news-p.v1_.20240703_.5a80ed2e08d3495797d1c3ceaa19dc8f_p1_.png
'건설노조 공안탄압 안산노동시민사회공동대책위'가 안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경인일보 DB
 

"어두워져 건설 자재가 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도 추가 작업을 하곤 했다. 하루 일이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이렇게 일한다고 해서 비용(수당) 처리가 잘 되는 것도 아니다."(형틀공 A씨)


"겨우내 현장에서 '몽골텐트' 2개가 탈의실의 전부였다. 철근공이 현장에 50~60명 있었는데 10명이 들어가면 2개가 꽉 찬다. 노조 팀에 있을 때는 당연히 문제를 삼았을 텐데, 일반(비노조) 팀에 있다 보니 참고 일한다."(철근공 B씨)

경기지역 건설노동자들이 정부의 건설노조 탄압 여파로 현장의 노동환경이 과거로 후퇴했다며 여건 개선을 요구(7월3일 인터넷 보도=경기도 건설노동자들 “노조 탄압으로 현장은 30년 전으로 돌아갔다”)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이들 노동자들의 현장 상황을 알 수 있는 심층면접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을 끈다.

건설노조 경기중서부지부 등은 '정부의 건설노조 탄압 이후 현장 노동자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대면조사를 지난 4월18일부터 6월13일까지 조합원 29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A씨와 B씨 사례 외에도 욕설 섞인 부당지시를 받거나, 임금이 제때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앞서 지부가 조합원 36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연장선이다.

지부와 월담노조·다산인권센터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날 안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이 같은 결과를 공개하며 지자체의 역할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비 공개, 적정임금보장, 중간착취 근절, 지역 건설노동자 우선 고용, 불법하도급 금지 등을 안산시를 비롯 도내 지자체에 요구했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