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23.jpg
인천시 부평구 한국GM 정문에서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경인일보DB
 

한국지엠 부평공장의 앞날이 불투명하다. 지엠 부평공장은 인천의 대표 산업체이지만 3년 뒤의 가동 여부가 확정되지 않는 상태이다. GM은 지난 3월 한국지엠 부평공장에 검토 중이던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생산을 철회하고 난 뒤 현재까지 별도의 물량 배정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2022년의 부평제2공장 폐쇄 위기를 떠올리며 관련기관의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지엠 부평공장의 미래는 신차 배정에 달려 있다. 다행히 GM이 실적 호조를 이어가는 상황이다. 투자 협상의 물꼬를 트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조건이다. 그러나 한국의 높은 인건비와 노조의 조직력 등은 신규투자를 주저하게 하는 요소들이다. 그리고 미국에서도 GM의 신차 생산계획 등이 불투명한 상태라는 점이 부정적이다. 미국의 대선 결과에 따라 전기차 보조금 정책과 미래차 전환 속도가 달라질 것이어서 이를 고려한 종합적인 전략을 세워야 한다.

부평공장이 신차, 미래차 생산 공장으로 존속하기 위해서는 현재로선 전기차 라인을 구축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천지역 차원의 상생협의체를 가동해야 한다. 부평공장의 존속과 지역 자동차산업 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한국지엠 노사, 하청업체, 인천시, 연구기관 그리고 지역구 국회의원 등이 모여야 발전방안을 도출해낼 수 있다. 마침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지부가 인천시에 이 같은 내용의 상생협의체 구성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고무적이다.

문제는 시간이다. 협의체의 구성이 신속하게 이뤄지고 대안이 마련돼야 GM과의 협상에서 생산적인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2018년 폐쇄된 한국지엠 군산공장이나 경영 정상화에 실패한 쌍용차 평택공장은 위기 상황에서 협의체를 구축했지만, 시기상 한발 늦게 이뤄지면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지엠은 인천경제의 중요한 축이다. 부평1공장에서 제작하고 있는 SUV 차종 트레일블레이저 생산은 2027년까지이다. 부평공장이 존속을 담보하려면 연내에 신차 생산이 배정돼야 한다. 신차 관련 설비 구축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면 반년도 채 남아 있지 않은 것이다. 부평공장이 또다시 생산중단 위기로 치닫지 않도록 정부와 인천시와 지역정치권은 신속히 대책을 마련하여 GM과의 협상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