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주-문화체육레저팀장1.jpg
김성주 지역사회부(광명) 차장
최근 명품 브랜드 원가가 공개됐다. 한 프랑스 명품 가방의 원가는 약 8만원이었지만, 50배에 가까운 384만원에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는 이뤄졌다. 그럼에도 무엇인가 특별하기에 명품일 것이라는 '신뢰'가 벗겨지면서 해당 명품이 가진 아우라가 벗겨졌다.

새삼 명품 원가 논란을 얘기한 것은 광명시와 광명시의회의 갈등이 명품 논란과 비슷하게 보여서다.

시는 시의회의 거듭된 반대로 난항을 겪는 광명산업진흥원 설립과 특정 상임위 쏠림으로 인한 비효율성을 문제로 경제문화국 소관 상임위를 자치행정교육위원회로 이전하는 방안을 시의회에 요청했다. 반면 시의회는 인사교류를 통한 수행비서와 운전기사를 요구했지만, 시는 최근 인사에서 받아들이지 않았다. 시는 시의 미래를 위해 광명산업진흥원 설립을, 특정 상임위 쏠림 현상으로 직원들이 업무현장이 아닌 시의회에 대기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시민들을 위한 정책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시의회의 요구는 활발한 의정활동을 위한 것일 수는 있으나, 시민과 직접 관계없는 요구다.

각자 진의는 모르겠으나 시와 시의회가 요구하는 바가 분명하다 보니, 이들 사안이 정쟁의 도구로 전락했다. 시민과 무관한 수 많은 말들이 오고 가면서 가치가 동일하지 않은 상품이 내걸린 정쟁의 무대가 만들어졌다. 시장 상품이라면 거래가 될 수도 있겠지만, 시와 시의회의 상품(정책) 가치가 달라 교환이 이뤄질 수 없다. 더욱이 시의회가 자신에게만 높은 가치를 지닌 상품을, 시민에게 좋은 상품이라고 착각한 듯한 모습으로 내비친다면 신뢰를 잃고 성숙한 지방자치라는 아우라가 벗겨질 수 있다.

되레 시의회가 광명산업진흥원 등에 대한 논의가 조심스러워질 수밖에 없는 상황 아닐까. 명품 논란에서 안타까운 것은 가방을 만들던 노동자의 인권이 빠져있다는 것이고, 시-시의회 논란에서 안타까운 것은 시민이 빠져있다는 것이다.

/김성주 지역사회부(광명) 차장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