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생 대폭 확대, 교육 질 하락"
내달 15일 백지화 촉구 궐기대회
경기도 내 한 의과대학 2학년생 자녀를 둔 이모(48)씨는 의정갈등의 끝이 보이지 않는 지금의 상황을 두고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자식을 포함, 의대생들이 학교에 돌아갈 수 없는 상황은 물론 내년 의대 신입생이 대폭 늘어나게 되는 건 교육의 질 하락 측면에서도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씨는 "학교 측은 지난 4월 의대 1·2학년 재학생 부모들을 모아 간담회를 했는데, 의대생이 늘어났을 때 정상적인 교육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불가능하다고 했다"며 "지금도 카데바(연구 목적을 위해 기증된 해부용 시신)가 부족해 해부학 수업에 차질이 있는데 학생이 갑자기 늘어나면 수업을 어떻게 진행하겠다는 건지 의문"이라고 털어놨다.
전국의대생학부모연합과 경기도의사회가 다음 달 15일 서울시청 광장 앞에서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호소 궐기대회를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도내 의대생 학부모들이 정부를 향해 일방적 정책을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정부 정책의 백지화가 없이는 의대생들의 학업 복귀도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특히 학부모들은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의대 학사일정 가이드라인에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는 한편, 의료시스템의 붕괴를 막으려면 정부가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을 전면 백지화하고 정확한 근거 제시를 통해 의료계와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의대 본과 3학년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의대생들이 복귀하기 위해선 전공의들의 복귀가 전제돼야 한다"며 "실무수업 시 전공의에게 교육을 받는데 전공의가 현장을 떠난 상황에선 의대생이 돌아가도 교육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