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ㅁ4.jpg
30일 환경부는 극한 홍수와 가뭄, 그리고 미래 용수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경기 연천, 강원 양구 등 14개 기후대응댐 후보지를 발표하고, 다음 달부터 지역 설명회, 공청회 등을 열 계획이다. 사진은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아미천댐 건설 예상지역. 연천/오연근기자 oyk@kyeongin.com

 

연천군의 오랜 숙원인 아미천댐 건설이 국가 주도 사업으로 확정됐다. 환경부가 30일 발표한 14개 기후대응댐 건설 계획에 아미천댐이 포함된 것이다. 정부에 아미천댐 건설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던 연천군과 군민에게는 묵은 체증이 내려갈 정도로 후련한 소식이다.

연천군은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피해가 잦았다. 1996년과 2001년엔 연천읍 전체가 물바다로 변해 군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남겼고 이외에도 크고 작은 침수피해가 그칠 날이 없었다. 건천에 집중되는 호우를 받아낼 물그릇이 없었던 탓이다. 반면 갈수기엔 물이 부족해 산업단지 조성과 유치에 애를 먹었다. 차탄천 상류인 아미천에 댐을 짓는 것 외엔 대책이 없었다.

국토부가 2017년 댐 건설을 희망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의 신청을 접수하자 연천군이 발빠르게 응한 것은 당연했다. 20개가 넘는 댐 건설 요청을 받은 국토부는 아미천댐을 사업 대상지로 분류했다. 2023년 댐 준공설이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연천군의 희망은 2018년 정부의 국가 주도 댐 건설 중단 방침으로 물거품이 됐다.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을 단군 이래 최악의 치수사업으로 규정한 문재인 정부가 10년 단위로 수립해 온 국가 댐 건설계획을 백지화한 것이다.

환경부가 지난해 12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치수 패러다임 전환 대책'을 발표하면서 아미천댐 건설 사업도 살아났다. 대책의 핵심은 기후변화로 인한 극단적인 가뭄과 홍수에 대비할 다목적댐 건설과 관리였다. 대책의 핵심 실행 계획이 어제 발표된 14개 기후대응댐 건설이다. 정식 명칭은 하천유역 수자원 관리계획이지만, 기후변화 위기를 체감하는 민심의 지지를 받기 위해 기후대응을 위한 댐 건설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연천군은 다목적댐인 아미천댐 건설 확정으로 군민의 안전과 지역의 발전을 도모할 핵심 시설을 보유하게 됐다. 담수량 4천300만t 규모의 아미천댐은 홍수 피해를 항구적으로 막을 수 있다. 각종 용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아미천댐은 지역 산업 발전을 견인할 원동력이다. 연천군이 10년 가까이 아미천댐 건설을 읍소한 이유다.

아미천댐 건설 사업은 확정됐지만 준공까지는 오랜 시일이 걸린다. 연천군과 경기도가 힘을 합해 정부측에 14개 댐 중 아미천댐 우선 착공을 설득해야 한다. 아미천댐 건설 계획과 조응하는 접경지역 산업진흥 계획 재수립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