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 인프라 확대 기여 전망 불구
수익성 부족 등 이유로 업계 외면
"잦은 고장·업체 영세 A/S 어렵다"
부족한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주유소 내에도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가 허용됐지만 수익성이 부족하다는 등의 이유로 주유소 업계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소방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주유소 주유시설과 전기차 충전시설 사이의 이격거리를 완화하는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이 개정돼 주유소 내에도 전기차 충전시설을 설치할 수 있게 됐다.
당시 정부는 전기차 확산에 발맞춰 땅 면적이 좁은 도심 내에서도 충전시설 설치가 가능하도록 규제를 개선한 것이라며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규제가 완화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주유소 내 충전시설에 대한 주유소 업계의 무관심이 이어지면서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주유소 업계는 이미 주택과 공공기관 등에 충전시설이 설치된 경우가 많아 주유소 내 충전시설에 대한 수요가 많지 않을 뿐더러 수익성마저도 낮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주유소에 충전시설을 설치할 경우, 충전 수익금이 1㎾당 약 300원에 불과해 2~3년 동안 하루 10대 이상 충전을 해야 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고 업계 관계자는 설명했다.
게다가 충전시설 설치업자가 주유소 부지 일부를 임대해 기기를 설치한 후 운영수익을 주유소 측과 나누는 방식도 있지만 충전시설이 자주 고장이 나고 충전기 제조업체마저 폐업하는 바람에 A/S마저 받기 힘든 것도 한몫을 하고 있다. A/S 지연으로 인한 손해는 주유소측이 전적으로 떠안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한국석유관리원이 지난해 10월 전기차 충전시설이 설치된 도내 주유소를 조사했는데 전체 2천300여곳 중 102곳(4.4%)에 그쳤고 추가로 충전시설이 거의 없다는 게 한국주유소협회 경기도지회의 설명이다.
수원시 팔달구에서 셀프주유소를 운영하는 A씨는 "휘발유나 경유를 넣는 차는 3분이면 빠지지만 전기차는 충전하는데 30분씩 걸린다"며 "도심에 있는 주유소의 3.3㎡당 가격이 2천만~3천만원은 하는데 굳이 충전소를 설치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한국주유소협회 경기도지회 관계자도 "충전시설 고장도 잦은 데다 업체가 영세한 경우도 많아 무상수리 기간을 보장받기 쉽지 않다"며 "정유회사의 직영주유소가 아닌 이상 충전시설에 투자하기가 어렵다"고 전했다.
/목은수기자 wo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