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사업자 중심 사업성 악화 '반대'
신규지정 보류·내달까지 연구 용역
추가의견 수렴·실효성 분석 '신중'


인천항 자유무역지역을 넓히는 것을 두고 찬반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자유무역지역 확대 지정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6일 인천해수청에 따르면 인천항 자유무역지역 신규 지정 계획을 보류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의뢰해 '인천항 항만 배후단지 자유무역지역 지정 관련 쟁점 연구'를 다음 달까지 진행하기로 했다.

KMI는 이번 연구에서 인천항 자유무역지역 확대 방안에 대한 찬반 의견을 수렴하고, 자유무역지역이 늘어날 경우 인천항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인천해수청은 올해 초부터 인천 신항 한진·선광 컨테이너터미널(95만7천㎡)과 신항 배후단지 1-1단계 2구역(94만3천㎡) 등 190만㎡를 신규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인천 항만업계는 임대료 인하, 관세 유보, 세금 감면 등 다양한 혜택으로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와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가 있다며 인천항 자유무역지역 추가 지정을 요구해왔다.

현재 인천에는 인천 내항과 남항 인천컨테이너터미널(ICT) 등에 196만㎡가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인천해수청이 자유무역지역 확대 계획을 세우자 인천 신항 배후단지 1-1단계 2구역을 개발한 민간 사업자를 중심으로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들 사업자는 해당 부지가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되면 입주 자격 요건이 까다로워지고, 보안시설과 통제시스템 설치 비용이 증가해 사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양측의 의견이 엇갈리자 인천해수청은 자유무역지역 확대 지정 신청 계획을 보류하고, 추가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인천해수청은 이번 연구 결과와 함께 인천항 수출입 화물 특성, 물동량 추이 등을 면밀히 고려해 자유무역지역 확대 지정 범위 등을 다시 정할 방침이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찬·반 입장을 분석해 자유무역지역 확대 지정의 실효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라며 "여러 의견을 토대로 신중하게 정책 방향을 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