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16일 실시되는 인천시 강화군수 보궐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이 4일 강화군선관위에서 시작됐다. 황우덕, 한연희, 유원종, 박용철, 전인호 씨 등 출마 예정자들이 이날 오전 등록 서류를 들고 촬영을 하고 있다. 2024.8.4 /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오는 10월16일 실시되는 인천시 강화군수 보궐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이 4일 강화군선관위에서 시작됐다. 황우덕, 한연희, 유원종, 박용철, 전인호 씨 등 출마 예정자들이 이날 오전 등록 서류를 들고 촬영을 하고 있다. 2024.8.4 /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인천 강화군수 보궐선거 예비후보로 6일 기준 9명이 등록했다. 오는 10월 16일 강화군을 비롯해 부산 금정구청장, 전남 곡성군수·영광군수 재·보궐 선거가 열린다. 지난 4일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됐는데 강화군에 가장 많은 예비후보가 몰렸다. 정당별로 보면 국민의힘이 9명이다. 민주당 후보 1명은 등록 이후 사퇴했다. 강화군청이 자리한 강화읍내 중심가는 예비후보 사무실과 현수막으로 가득 차 이미 선거전 열기가 고조됐다. 지역 정가에서는 강화군수 보궐선거 예비후보 등록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강화군은 13개 읍·면에 6만8천771명(7월 기준)이 거주하는 농어촌 지역이다. 세대당 인구 수는 1.96명이다. 65세 이상 인구가 2만6천347명(38%)으로 초고령사회다. 행정안전부는 지방분권균형발전법에 따라 강화군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했다. 강화군이 인천에서 행정·재정적으로 소외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주민이 많다. 강화군수 출마 예정자들 모두 '강화 발전'을 이야기하는데, 그 밑바탕에는 '소외론'이 깔려 있다. 수도권 인구감소지역은 강화군을 비롯해 인천 옹진군, 경기 가평군·연천군 등 4곳이 있다.

강화군 유권자들이 바라는 건 생활 여건 개선이다. 그 대표적 사례로 교통망 확충을 희망하는 목소리가 크다. 지난달 강화에서 서울까지 운행하는 3000번 버스 운행 대수가 절반 이상 줄고 배차 간격이 10분에서 40분으로 늘었을 때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한 이유는 이 버스가 유일한 서울행 직행좌석이었기 때문이다. 또 강화군은 '문화재 규제'로 인한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지역이기도 하다. 문화재를 보존하면서도 주민 사유재산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 밖에도 교육·의료·관광·도시개발 분야 현안들이 쌓여 있다.

10·16 재보궐 선거 지역 중 수도권은 강화군이 유일하다. 역대 선거 결과를 보면 '보수 텃밭'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강화군수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가 보수정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된 것만 모두 4차례다. 군민들이 당이 아닌 인물·공약을 보고 군수를 선택했다는 뜻이다. 국민의힘 후보들 사이에 공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경쟁이 상호 비방전이 아닌 다채로운 공약 경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이번 강화군수 보궐선거 출마 예정자들은 모두 '강화 발전 묘안을 낼 적임자'를 자임하고 나섰다. 보궐선거를 계기로 강화의 실질적인 변화가 이뤄지기를 유권자들은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