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대 "경제위기 극복 머리 맞대자" 제안… 대통령에 제스처
추경호 "8월은 정쟁법안 휴전 선언하자… 민주 제의 환영한다"


'여당발' 해빙무드는 한겨울 삼한사온처럼 '덜 추운날' 정도로, 아직 완벽한 해빙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여야정협의체'·'영수회담'을 제안했고,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환영'의 뜻을 밝힌 것은 일단 대화가 시작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여당은 '야야정 협의체'에, 야당은 '영수회담'에 방점을 찍으며 미세한 차이를 보인다.

게다가 국민의힘이 '휴전'을 기대했음에도 민주당이 8일 채해병특검법 재발의에 나서기로 하면서, 전면전으로 번질 수 있는 갈등의 여지를 여전히 남겨놨다는 분석이다.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재의 경제상황을 '비상시국'이라고 표현하고 "초당적 위기 극복을 위해 여야가 영수회담을 조속히 개최해야 한다. 현재 위기는 윤 정부 혼자 힘만으로는 돌파가 어렵다"고 말했다.

'영수회담'을 거론한 것은 여당보다 대통령을 향한 제스처로 보인다. 21대 국회 당시 '야당을 국정운영의 파트너로 인정해 달라'는 요구와 같은 맥락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야당을 '여야정 협의체'에 앉히는데 방점을 찍었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8월 임시회는 정쟁 휴전을 선언하자"고 강조했다.

그는 "제가 지난 6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이견이 없거나 크지 않은 입법을 처리하기 위해 여야정 협의를 하자고 제시한 바 있다. 오늘 박 원내대표가 이에 대해 여야정 협력기구를 설치하자고 답변했다.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간호법, K-칩스법, 기간전략망법 등을 '민생법안'으로 분류했다. 또 노조법개정안과 민생회복지원금 특별법에 대해서는 '정쟁법안'으로 정했다.

민생법안은 협의하고, 정쟁법안은 대통령께 거부권을 건의드리겠다는 게 추 대표의 입장이다.

민주당은 애초 국민의힘의 '자의적인' 민생법안 분류라며 이에 동조하지 않았다.

민주당 원내대표실 관계자는 경인일보와의 통화에서 "우리가 제시한 건 경제위기극복이라는 목적을 두고 여야정이 머리를 맞대자는 것이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그보다 안건을 확 좁혀 법안 몇가지로 줄였다. 게다가 정부는 답변도 없다. 여와 야가 서로 다른 얘기를 하고 있는 중"이라고 일갈했다.

국민의힘이 '민생법안'을 집요하게 들고나오는 데 대해서 민주당은 '프레임 전환' 의도라고 보고 있다. 이 관계자는 "정보사 기밀유출, 마약수사외압의혹 등 정부를 곤혹스럽게 만드는 의혹들이 터져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휴전을 요구했다"고 지적했다.

/권순정기자 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