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사업 참여 업소 고작 17곳
별다른 지원 없어 혜택폭 크지 않아
충북 단양은 이용료 30~50% 감면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에서 발급받은 디지털 관광주민증.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 갈무리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에서 발급받은 디지털 관광주민증.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 갈무리

관광지에서 음식값 할인 등의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디지털 관광주민증'이 인천 강화군에선 쓰임새가 적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맹 업소와 할인 혜택 등이 적어서다.

여름 휴가철을 앞둔 지난 6월 문화체육관광부는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을 15곳에서 34곳으로 늘렸다. 방문하려는 지역의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에서 발급받으면 현지 음식점, 숙박업소, 미술관 등에서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강화군은 2022년 사업 대상 지역으로 선정돼 8일 기준 9만6천71명이 강화군의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발급받았다. 그러나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발급받은 관광객이 강화군에서 누릴 수 있는 혜택은 미미하다. 강화군에서 이 사업에 참여하는 음식점과 숙박업소 등은 17곳에 불과하다. 그마저도 대부분 결제 대금의 5~10%만 감면되는 등 할인 혜택도 크지 않다.

해당 업소들은 관광객을 위한 혜택을 늘리는 게 부담스럽다고 푸념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별다른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강화군에 있는 한 미술관 관계자는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제시하면 입장료 1천원을 할인해주는데, 이를 이용하는 관광객은 전체 관광객의 1% 남짓"이라며 "할인 금액을 늘리고 싶어도 미술관에서 그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타 시·도 기초자치단체에선 지역경제에 보탬을 주고자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활용한 관광객 유치에 힘쓰고 있다. 충북 단양군의 경우 단양군청과 단양관광공사가 운영하는 휴양림, 야영장, 전시관 등을 이용하는 관광객에게 이용료 30~50%가량을 감면해 주고 있다.

강화군 문화관광과 관계자는 "문화체육관광부나 지자체가 할인 금액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개별 업체에서 할인 혜택을 마련하는 데 부담을 느끼고 있다"면서 "일단 사업 홍보에 집중해 참여 업체를 늘리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선아기자 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