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계획도시 정비 기본 방침 발표
2곳 합쳐 4만 가구 추가 공급 계획

1기 신도시 중 부천 중동의 기본 용적률이 350%, 군포 산본은 330%로 정해졌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4일 노후계획도시 정비 기본 방침안을 발표했다. 같은 날 1기 신도시 5곳 중 부천 중동과 군포 산본이 기본계획안을 마련해 주민공람에 돌입했다. 안양 평촌은 이달 말 발표 예정이다. 성남 분당·고양 일산의 경우 확정·발표 시기가 명시되지 않았다.
부천 중동은 기준 용적률을 350%로 설정했다. 현재 평균 용적률은 216%다. 이를 토대로 5만8천가구에서 8만2천가구로 총 2만4천가구를 추가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새롭게 재탄생되는 중동 신도시의 미래상 모델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 도시공간 구조를 재편해 시민의 공간복지 실현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포 산본은 기준 용적률을 330%로 정했다. 현재 산본지역의 평균 용적률은 207.1%인데, 재정비를 통해 기존 4만2천가구(11만명)에서 5만8천가구(14만명)로 1만6천가구가량을 추가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역세권 등 구역별 구체적인 용적률은 노후계획도시 정비 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정해질 예정이다.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정차 및 당정동 공업지역 활성화 사업을 연계해 산본을 교통이 편리하고 자족기능이 강화된 도시로 거듭나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공공기여 비율은 기준 용적률보다 낮은 곳은 10%, 높은 곳은 41%로 각각 설정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는 법령상 하한선이다.
사업성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공공기여 비율을 낮게 조정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구역별로는 적게는 244억원, 많게는 1천486억원 규모까지 공공기여분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재정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주 수요와 관련해선, 3기 신도시인 의왕·군포·안산지구에서 군포시에 해당하는 구역 주택 물량 중 30%에 해당하는 4천270가구를 이주용 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과 협의해나간다는 방침이다.
→ 관련기사 (분당·일산 재정비 불투명… 이주도 '과제')
/김연태·강기정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