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이동노동자들의 건강권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쉼터를 확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천지역 이동노동자 쉼터는 남동구 생활물류쉼터 등 3곳에 불과하다.
28일 오후 인천권익노동센터 주관으로 인천 연수구 미추홀타워에서 ‘이동노동자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이 토론회에서 장진희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연구위원은 ‘플랫폼 이동노동자 건강실태 및 이동노동자쉼터 조성방안’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장 연구위원이 플랫폼 이동노동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이들의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54.1시간이다. 이들 대부분 개인사업자라 일하는 시간에 제한은 없다. 다만 임금노동자 기준 법적 최대 근로시간인 주 52시간을 초과한다.
이동노동자는 하루 평균 두 차례 정도 쉬며, 1회 당 평균 휴식시간은 28분이었다. 휴식 공간은 주로 버스정류소, 공원 등 야외였다.
장 연구위원은 “이동노동자 중 76.1%가 쉼터 조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으로 ‘접근성’을 꼽았다”며 “이동이 많다는 특성을 반영해 쉼터를 많이 늘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대리운전 기사 등 야간에 주로 활동하는 이동노동자를 위해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인 운영시간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서울시 중구의 ‘스마트쉼터’를 좋은 사례로 꼽았다. 중구는 지난해부터 냉방기와 공기정화기 등을 갖춘 실내 버스정류장 ‘중구형 스마트쉼터’를 조성했다. 중구는 이 스마트쉼터를 이동노동자들이 이용하도록 유도했다.
토론회 참석자들도 이동노동자를 위한 휴게 인프라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노동권익센터 정경화 사업안전팀장은 “규모가 큰 하나의 쉼터보다 크기는 작더라도 접근성이 높은 쉼터를 많이 만드는 게 이동노동자들에겐 더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인천생활물류쉼터 이성재 대표는 “인천시엔 이동노동자를 위한 쉼터가 턱없이 부족하다”며 “지금 이 순간에도 이동노동자들이 제대로 쉬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가 선제적으로 쉼터 조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