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개 대학서 5년째 공모 사업
수강 268명 설문 결과 긍정평가
참여학교 적고 이론 쏠림은 과제
경기도가 대학생들의 노동권익을 위해 도내 대학에서 실시하는 '노동인권강의 개설사업'이 시행 5년차에 접어든 가운데, 참여 학생들이 큰 만족도를 나타내 눈길을 끌고 있다. 다만 사업 시행 대학이 10여개에 그치고 현장이 아닌 이론 중심 강의에 그친 점은 향후 과제로 남았다.
1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19년 2개 대학(한신대, 평택대) 대상 시범사업을 거쳐 매년 도내 대학을 대상으로 노동인권강의 교양강좌를 개설해 운영 중이다.
도는 '경기도 대학생 노동인권교육 진흥 조례' 등을 근거로 자체 예산을 투입해 공모를 거쳐 매년 10여개 대학을 대상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올해는 단국대·한신대·용인대·중부대·대진대 등 도내 13개 대학이 사업에 참여했다. 노동 강의뿐 아니라 노동인권 영화제, 수기 공모전 등을 진행하는 대학도 있다.
주목되는 건 참여 학생 대다수가 높은 만족감을 드러내는 점이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올해 1학기 사업에 참여한 도내 10개 대학의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매우 만족(41.3%), 만족(46.1%) 등 사업 내용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비율이 87.4%에 달했다. 이 중 220명(81.8%)이 이전에 노동 관련 교육을 받아본 적 없다고 답하면서도, '다른 친구들에게 강좌를 추천할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대다수(87.3%)가 긍정하는 답을 내놨다.
이는 취업전선에 맞닿아 있거나 학업과 일을 병행하는 대학생들이 그간 노동교육에 갈증을 느끼고 있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참여 대학이 10여곳에 그치는 등 참여율이 낮고, 학생별 맞춤 진로탐색이나 현장실습 등이 없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꼽힌다. 지난달 27일 도와 사업 참여 대학, 민주노총 경기도본부가 도의회에서 연 '대학생 노동인권사업 성과와 발전방안' 토론회에서도 이 같은 의견들이 나왔다. 이 자리에서 김용균재단의 권미정 상임이사는 "학교별 교육뿐 아니라 현장실습을 통한 노동안전 실무교육 등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도가 전국 광역지자체 중 앞서서 이와 같은 시도를 한 것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질적 확장성'을 고민해야 할 시기라고 제언했다.
진숙경 서울시립대 겸임교수(경기교육연구원 박사)는 "도가 사업을 열고 대학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며 "이론과 토론 수업에 치중된 면이 있는데 대학 간의 연계와 참여형 현장 강의가 생기는 등 사업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
경기도 '대학생 노동인권 강의' 87% 만족… '현장' 없어 아쉬움
입력 2024-09-01 20:14
수정 2024-09-01 20:16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9-02 7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