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수원시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경기도 버스 노사 관계자들이 합의문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9.4 /연합뉴스
4일 오전 수원시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경기도 버스 노사 관계자들이 합의문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9.4 /연합뉴스
 

경기지역 버스 노사가 파업을 불과 1시간 앞두고 협상 타결에 성공해 수도권 교통대란을 가까스로 모면했다. 경기도 전체 노선버스의 90%가 속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와 사용자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이 어제 새벽 협상안에 합의함으로써 도내 31개 시·군에서 운행되는 45개 업체 9천300여대 버스가 예정된 파업을 철회하고 모두 정상 운행했다. 여기엔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2천200여 대도 포함돼 있다.

벼랑 끝까지 몰렸던 협상이 막판 극적인 타결을 이뤄낸 데에는 최악의 사태만은 피해야 한다는 노사 양측의 상황인식 공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도민을 비롯한 수도권 주민들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절제력도 빛났다. 최대 쟁점이었던 임금 인상과 근무 조건을 두고 노사 양측이 모두 한발씩 물러남으로써 노조와 사용자, 그리고 대중교통 서비스의 실수요자가 모두 승리를 거두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던 양측 대표가 소감에서 '양보'와 '상생'의 단어를 강조한 것도 그런 공생(共生) 의지의 표현이었음은 물론이다.

이번 협상 타결로 경기도 버스의 고질적인 문제들이 모두 해소된 건 아니다. 무엇보다 임금부문에서의 노사 간 시각차가 크다. 노조 측은 경기도 버스 기사들의 월급이 서울보다 최대 100만원 낮다고 주장한다. 준공영제 노선 12%, 민영제 노선 22%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던 이유다. 반면 사용자 측은 어려운 재정 여건을 이유로 5%의 인상만 가능하다고 맞서 진통을 겪었다. 올해는 일단 준공영제 노선과 민영제 노선 모두 7%씩 인상하는 것으로 합의를 이뤘지만 앞으로도 계속해서 최대 쟁점이 될 사안이다.

노조가 요구하는 하루 2교대 근무 전환과 도민들이 꼽은 가장 심각한 불편사항인 노선 및 운행 횟수 부족은 인력난에 기인하는 사안들인데 짧은 시일 안에 획기적인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노조가 즉각 철회를 강력하게 요구했던 1일 2교대제 전환의 6개월 유예안을 그대로 존속키로 합의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

공공관리자로서의 경기도의 역할이 중요함을 다시 한번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노사 협상 과정에서 직접 중재에 나서기도 했던 김동연 지사가 약속한 버스 공공관리제 시행과 질 높은 대중교통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경기도가 해야 할 일이 적지 않다. 이번 극적인 협상 타결이 경기도 스스로 그런 각오를 가지는 계기가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