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백 의혹' 김택규 협회장 횡령·배임 가능성도
정부가 배드민턴 비(非)국가대표 선수의 국제대회 출전을 제한하는 대한배드민턴협회 규정의 폐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24 파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안세영(22·삼성생명)이 협회와 배드민턴 국가대표팀을 향해 제기한 문제에 대한 해결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또한 정부는 이른바 '페이백' 의혹이 제기된 김택규 배드민턴협회 회장에 대해선 횡령·배임 가능성도 지적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0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협회 조사 중간 브리핑을 했다.
이번 조사는 파리 올림픽 배드민턴 결승전 직후 안세영이 협회와 대표팀 운영 전반에 대해 작심 발언을 한 것을 계기로 착수됐다.
배드민턴협회 규정은 국가대표 은퇴선수 중 대한민국 배드민턴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큰 선수에 한해 세계배드민턴연맹 승인 국제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국가대표 활동기간을 햇수로 5년 이상인 선수를 대상으로 하며 그 연령은 여자 만 27세, 남자 만 28세 이상으로 정하고 있다.
문체부는 "국내 올림픽·아시안게임 종목(44개) 중 배드민턴처럼 비국가대표 선수의 국제대회 출전을 제한하는 경우는 없다"면서 "국가대표 선수단 대다수는 국제대회 출전 제한의 폐지 또는 완화를 희망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직업 행사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는 만큼 폐지를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김택규 회장의 후원물품 배임·유용 의혹에 대해선 횡령·배임 가능성을 언급했다.
문체부는 "2023년 회장과 공모사업추진위원장 주도로 물품을 구입하면서 협회 직원들 몰래 후원물품 지급계약을 구두로 체결해 셔틀콕, 라켓 등 1억5천만원 규모의 물품을 수령했다"면서 "올해는 회장과 협회 사무처가 주도해 후원사로부터 약 1억4천만원의 후원물품을 받기로 서면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협회가 이렇게 받은 후원물품을 공식 절차 없이 배부했다"며 "작년에는 공모사업추진위원장이 지역별 물량을 임의로 배정했고 위원장 소속인 태안군배드민턴협회로 4천만원 상당의 용품이 배분됐다"고 지적했다.
/김영준기자 ky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