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늘어나는 섬지역의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점별 소각장 설치가 시급하다. 현재 인천지역에서 수거되는 해양쓰레기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지만 육지로 옮겨 처리하고 있어 이로 인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주민 불편도 크기 때문이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인천지역에서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3천390t에 달한다. 최근 4년간 인천지역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20년 6천589t, 2021년 5천200t, 2022년 5천190t, 2023년 5천512t 등 매년 5천t이 넘는다. 해양쓰레기의 절반가량은 서해 5도 등 옹진군의 섬에서 나온다. 해양쓰레기의 수거율을 높이고 어구실명제가 본격화되면 해양쓰레기의 양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섬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자체 소각처리 후 매립되고 있지만 해안과 바다에서 수거되는 해양쓰레기는 섬지역 소각장에서 반입할 수 없다. 해양쓰레기는 염분 등 이물질이 많이 섞여 있는 지정폐기물이기 때문이다.
인천의 바다와 섬지역에서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섬 적치장에 보관되어 있다가 연 2~4회 육지로 운반하여 별도로 소각처리하고 있어 1t당 44만원 가량의 고비용으로 처리되고 있다. 연평도와 백령도, 대청도 등 서해 5도 지역은 예인선과 부선(바지선)으로 해양쓰레기를 육지까지 220㎞가량 운반하니 큰 비용이 들 수밖에 없다. 쓰레기를 수집하여 장기간 적치하는 동안 악취와 침출수가 발생해 지하수와 토양이 오염되는 등 2·3차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인천시와 시의회가 실시한 사전조사에서 거점별 소각장 설치에 다수 주민들이 동의했다. 해양쓰레기 소각장을 소형 열병합 발전소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반대 의견도 무시할 수 없지만 특수 소각로를 통해 해양쓰레기를 소각하여 발생한 폐열을 이용하고 열병합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게 되면, 섬지역의 에너지 자급 체계를 구축하고 환경보호와 자원순환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어 일석삼조다.
쓰레기는 발생지 처리가 하나의 원칙이다. 또 해양쓰레기를 거점별로 소각한다면 비용과 효과면에서도 유리하다. 소각장은 친환경 첨단시설로 건설하여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열병합 발전시설로 구축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다. 해양폐기물의 분리 선별로 소각 비용과 전력 소모를 낮추고 업사이클링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부가 효과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면 주민 수용성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