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 경험 토대 활성화 방안 찾자


연수구 '쿠키' 공간 제약
공급업체 수익 악화 철수
송도 제한 사업도 폐지 가능성

'따릉이' 서울시 전역 이용
4천만회… 시민 호응 뜨거워

"市 차원 운영해야 효율적"


2024061101000098200009972
일러스트/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

"단돈 1천원 정도면 탈 수 있는 공공자전거 '쿠키'가 사라져서 아쉽습니다."

직장인 배승환(29·연수구)씨는 "카카오 바이크는 10분 정도만 타도 2천원이나 든다"며 이렇게 말했다.

인천 10개 군·구 중에서 연수구는 자전거 활성화 정책으로 '공공자전거'를 도입해 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 실험은 실패했다. 연수구 공공자전거는 지역 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었다. 공간적인 제약에 구민 만족도는 떨어졌다. 연수구와 계약을 맺고 자전거를 공급한 민간 업체는 수익성 악화로 결국 철수했다.

다만 연수구 공공자전거 사업이 실패한 원인을 들여다보면 인천 자전거 활성화 정책의 해법을 찾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연수구청-쿠키자전거-출고장.jpg
2018년 인천 연수구에서 운영했던 공공자전거 쿠키. /경인일보DB

연수구는 2018년 삼천리자전거와 협약을 체결하고, 약 1천여대의 공공자전거인 '쿠키'를 인천에서 처음 운영했다. 삼천리자전거가 철수한 뒤 2021년 7월엔 (주)옴니시스템과 협약을 맺고 공공자전거 '타조' 1천500여대를 배치하기도 했다. 연수구가 공공자전거를 도입한 이유는 구민들이 자전거로 주거지와 버스정류장, 지하철 역사 등을 편리하게 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였다.

연수구 공공자전거 '쿠키'와 '타조'는 서울시가 2015년 도입한 '따릉이' 공공자전거 사업과 비슷한 구조다. 따릉이는 '시민들의 발'로 자리잡은 반면, 연수구의 '쿠키'와 '타조'가 정착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연수구 공공자전거 운영 업체들이 철수한 이유로는 공간 제약과 낮은 사업성이 꼽힌다.

인천시민은 누구나 공공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었지만 반납 장소가 연수구로 제한돼 있다 보니 남동구, 미추홀구 등 인접 지역의 구민들에게는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업체는 서울 '따릉이'에 비해 시간당 400원 정도 비싼 요금을 받았는데도 운영하면 할수록 적자가 늘어나면서 사업을 포기했다.

연수구 관계자는 "아무리 공공성을 위한 사업이지만 수익 자체가 나지 않으니 협약을 맺은 업체들이 모두 사업을 포기했다"며 "더군다나 연수구에서만 이 자전거를 탈 수 있다 보니 구민들의 이용에도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0019.jpg
10일 오후 인천시내 민간 플랫폼 업체에서 운영하는 공유 자전거들이 놓여있다. 자전거 활성화 정책으로 연수구가 추진했던 공공자전거사업은 '반납 장소 부족'과 '수익성 악화' 등의 이유로 실패하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민간 플랫폼 업체의 공유 자전거가 그 자리를 꿰찼다. 2024.6.10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이제 연수구 구민들은 카카오, 쏘카 등이 운영 중인 공유자전거(2천900여대)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쿠키', '타조'는 대여료가 1시간에 1천500원이었는데, 공유자전거는 시간당 평균 6천원에 달한다.

그나마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연수구 내 송도국제도시에서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공공자전거 사업도 폐지될 가능성이 크다.

인천경제청은 기부채납 방식으로 받은 100여대의 자전거를 2013년부터 무료 대여하는 방식으로 공공자전거를 운영했다.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신분증을 맡기면 무료로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난해 이용 건수가 47건, 올해 들어선 8건에 그치고 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송도국제도시 내에서만 이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어 이용률이 저조하다"며 "공공자전거 취지를 살리려면 지자체가 아닌 인천시 차원에서 운영하는 게 사업 효용성을 늘릴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서울시는 매년 350여억원 예산을 투입해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4만5천여 대 운영 중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전역에서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어 시민들의 호응이 좋다. 지난해 이용건수만 4천490만5천313회에 이른다. 올해 서울시가 출시한 기후동행카드 월 정액권(6만5천원)을 사용하면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탈 수도 있어 앞으로 이용량은 더 증가할 전망이다.

서울시 도시교통실 관계자는 "시민들의 교통 편의성과 환경보호 측면에서 도입한 공공사업인 만큼 따릉이의 이용률 증가는 고무적"이라며 "공공자전거 외에도 자전거 이용을 늘리기 위해 인프라 확충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안전성 확보·인프라 확충… 인천시, 광역단위 공공자전거 도입해야 [길 잃은 인천 자전거 정책·(下)])

/이상우기자 beewoo@kyeongin.com

2024061101000098200009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