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30곳 중 경기 5곳·인천 1곳
각종 규제에 묶여 조성 포기 일쑤
지자체 주관 시설은 예산 걸림돌
급속한 도시화와 황폐해진 산림으로 일상 속 녹지공간에 대한 수요는 급증했다. 도심 속 공원들이 하나씩 들어섰지만, 시민들은 여전히 더 높은 수준의 공간을 갈망하고 있다. 이에 식물의 지속적인 재배와 관리가 이뤄지는 정원에 대한 발길이 이어지고, 가치가 재발견되는 중이다.
정부는 10년전 정원의 양질과 접근성을 높이겠다며 '민간정원' 제도를 도입했다. 하지만 10년을 맞이한 현재 도시정원 성적표는 사실상 '낙제점'이다. 전국적으로 130개 이상이 조성된 도시정원이 정작 인구의 절반이 모여 있고 정원 수요가 높은 수도권에는 단 6개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도시민들이 '정원'을 찾아 '원정'을 가야 할 정도로 도심은 메마르고, 시민은 목이 마르다. 경인일보는 수도권 내 정원에 대한 꾸준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민간의 조성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와 여건을 살피고 제도적 대책을 모색하려 한다. → 편집자주
30일 산림청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수도권에 조성된 민간정원은 6곳이다.
경기도에는 엘리의정원(가평), 타샤의 정원 251(가평), 우리의 꿈(여주), 여강한글정원(여주), 스튜디오 정원(양평) 등 5곳이, 인천엔 파인 앤 로즈정원(강화) 1개가 조성돼 있고 서울은 전무하다.
전국에 조성된 민간정원 135개의 3%에 그치는 상황이다. 권역별로 보면 영남권이 53개로 가장 많았고, 단일 시·도 중에선 전라남도가 26개로 최다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일상 속 자연 공간이자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정원을 대대적으로 확대하겠다며 지난 2015년 '민간정원'을 규정하는 제도를 처음 만들고 관련 정책을 추진했다.
이때부터 정원을 국가정원, 지방정원, 민간정원, 공동체정원 등으로 나누고 내년까지 정원 2천400개를 국내 조성하겠다는 '제2차 정원진흥기본계획'도 지난 2021년에 세웠다.
그러나 민간정원 정책적 목표와 제도적 지원에도 여전히 사람이 모인 곳에서의 정원 조성 실적은 저조하기만 하다.
그나마 경기도가 지난 2022년말 조직개편을 통해 산림녹지과를 '정원산업과'로 개편하고 관련 지원책을 추진하면서 그 수가 최근에서야 늘어난 상황이다.
도내 민간정원 5곳 중 3곳은 지난해, 2곳은 올해 1월 등록됐다.
경기도 역시 관광 활성화와 수도권 시민들의 정원 수요에 발맞춰 정원을 늘리고 싶어 하지만, 각종 규제에 발 묶인 민간들이 조성을 포기하고 있다.
여기에 지자체가 주관하는 공공정원은 막대한 예산 등으로 추진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 관련기사 ('위법성 있는 토지' 발목… 요건 갖춰도 줄줄이 심사 탈락 [삭막한 도시, 정원은 없다·(上)])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