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제도 흥행 실패 대안
서울·세종·충북 등 사업확대 나서
순천만정원 年 980만명 333억 수익
道, 조직개편에도 민간 지원은 없어
국내 지자체들이 정원과 수목원 등의 녹지공간에 대한 투자를 앞다퉈 나서는 만큼, 경기도 역시 적극적 지원과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제적·관광적 효과가 이미 입증돼 나타나고 있기 때문인데, 전문가들은 지자체장의 관심과 의지에 따라 조성 규모가 달라지고 있다고 제언했다.
서울시는 지난 3월 오는 2026년까지 1천여개의 정원 등을 만들어 '정원도시'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서울 도심에 조성된 기존 공원과 연계한 정원을 자치구마다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현재 서울 내 민간 및 공공정원은 전무한 상황이다.
시는 대상지 입지·유형에 따른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한 가이드라인을 제작, 배포해 각종 규제와 등록기준에 가로막힌 정원 조성 여건을 개선한다. 예산도 투입해 보상이 완료된 공원용지를 정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민간정원 2개가 전부인 세종시도 '정원관광 선도도시'를 선언하며 올해 처음 민간정원 축제를 개최하고 관련 지원 사업에 나섰다. 충북과 울산 등 다수의 광역단체도 민선 8기 들어 정원 확대를 역점 사업으로 두고 있다.
지자체들이 정원 사업에 뛰어드는 이유는 입증된 가치 때문이다. 국내 1호 국가정원인 순천만정원은 지난해 동안 980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해 333억원의 수익과 1조5천억원이 넘는 생산유발효과를 얻었다. 특히 민간정원은 최근 야외결혼식장으로 활용되거나 카페, 펜션 등과 연계해 관광적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전세계적으로도 정원은 이미 각광받는 중이다. 등록된 정원만 3천700개가 넘는 영국은 매년 개최하는 '첼시 플라워쇼'를 통해 연간 1천800억원이 넘는 수익이 발생하는 중이다. 미국 역시 시민들이 직접 정원 조성에 참여하는 '공동체 정원' 활동에 매년 8천만 가구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가 정원 관련 정책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도는 현재 조직개편을 통해 '정원산업과'를 신설했지만, 민간정원 관련 지원사업은 없는 상황이다.
김동필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는 "현재 전국 지자체별 정원 수에 편차가 나는 주된 이유는 지자체장의 의지에 달렸다"라며 "지역이 얼마나 산업, 경제와 정원 산업을 연계해 육성할 관심이 있는지에 따라 조성 규모가 달라진다. 제도는 같지만, 지역에 따라 여건이 전부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