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번한 여객기 사고 안전성에 중대한 영향
항공교통본부와 협의 자료 신속 전파 계획
'차세대 항공교통 지원 기술개발' 진행도
'위험 기상' 정확도 높이는 역량 최선 다해

006.jpg
장동언 기상청장
최근 항공난류로 인한 항공기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 5월22일 미얀마 상공에서 싱가포르항공이, 5월26일 튀르키예 상공에서 카타르항공이, 7월1일 브라질 상공에서 스페인항공이 항공난류를 만나는 사고가 발생해 연일 보도가 이어졌다. 항공기를 요동치게 만들어 기내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항공난류는 항공 산업의 안전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항공기를 크게 요동치게 하는 난류의 유형으로는 '청천난류', '산악파난류', '대류성난류', '저층난류'가 있다. 청천난류는 제트기류 부근에서 성층권 공기와 대류권 공기가 섞이며 발생하는 난류다. 산악파난류는 기류가 큰 산맥을 횡단하면서 발생하는 파동에서 나타난다. 대류성난류는 지면 가열로 수직 발달한 적란운의 내부와 그 주변에서 발생한다. 적란운 내부의 강한 상승기류로 발생하는 '대류 속 난류'와 적란운 주변에서 생긴 요란으로 발생하는 '대류 부근 난류'로 나뉜다. 최근 발생한 난류 사고는 대부분 대류 부근 난류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저층난류는 지표 근처 기류가 작은 산이나 건물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난류이다. 이 중 청천난류, 산악파난류, 대류 부근 난류는 구름이 없어서 기상레이더로 감지하기 어렵다. 항공산업계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난류라는 뜻에서 이 세 유형의 난류를 통칭해 청천난류라고 부르기도 한다.

난류를 비롯해 착빙, 적란운 등의 기상현상을 예보하여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지원하기 위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1980년대에 세계공역예보시스템(WAFS)을 구축하여 전 세계를 운항하는 항공기에 세계 최고의 기술이 적용된 기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국제 기상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해양대기청(NOAA)과 영국기상청(Met office)이 세계공역예보센터(WAFC)가 되어 기상현상들을 예보하고 있는데, 수치예보시스템으로 1~2일 전에 예측할 수 있는 청천난류와 달리 아직 대류 부근 난류는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공역예보센터는 기존에 6시간마다 제공하던 수치예측자료를 3시간 간격으로 최대 48시간까지 제공하는 등의 개선을 통해 예측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개선된 서비스는 내년 11월부터 정식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우리 기상청도 국내 항공사를 지원하기 위해 전지구 항공난류예측시스템(G-KTG)을 운영하여 난류예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이는 세계공역예보시스템의 예보자료를 보증하고, 불확실한 예보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난류예보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또 다른 대안은 실시간으로 관측한 자료를 수집하여 전파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상청은 항공교통본부와 협의해 항공난류 자료를 신속하게 수집하고 전파할 계획이다. 항공기가 방송하는 자료(ADS-B)를 수집하고, 나아가 국제항공운송연합회(IATA)와 협력해 항공난류관측자료(EDR)를 수집해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항공사의 난류 대응을 지원할 것이다.

영국 레딩대학교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앞으로 북반구 중위도에서 난류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항공난류의 영향에서 예외일 수 없는 것이다. 또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금보다 2배 증가할 경우 기내서비스가 어려운 강도의 난류가 84%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돼,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항공난류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항공난류의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기상청은 '차세대 항공교통 지원 항공기상 기술개발(NARAE-Weather)'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선진 기술을 도입해 항공난류에 대한 예측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다가오는 2027년에는 더욱 상세하고 정확하게 항공난류를 포함한 위험기상정보를 제공해, 항공사와 관제기관은 위험기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보이지 않아 더욱 위험한 항공난류를 포함해 항공 안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위험기상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기상청은 위험기상을 예측하고 감시하는 역량을 계속해서 높여 나갈 것이다. 정확도 높은 예측과 촘촘한 감시를 통해 안전하고 편안한 하늘길을 안내하는 믿음직한 길잡이가 되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장동언 기상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