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매입… 대출 14조5천억으로
비금융법인, 순익 축소·투자 확대
지난 2분기 주택 매입이 늘면서 가계의 여윳돈이 예금 등을 중심으로 1분기보다 약 36조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의 경우 이익 감소와 투자 증가 등으로 끌어 쓴 자금이 22조원 이상 급증했다.
한국은행이 7일 공개한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 및 비영리단체의 올해 2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41조2천억원으로, 직전 1분기(77조6천억원)보다 36조4천억원 적었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이다. 보통 가계는 순자금 운용액이 양(+·순운용)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순자금 운용액이 대체로 음(-·순조달)의 상태인 기업·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의 2분기 자금 운용 규모(55조7천억원)도 1분기(79조원)보다 23조3천억원 적었다. 자금 운용을 부문별로 나눠보면, 특히 예금 등 금융기관 예치금이 한 분기 사이 58조6천억원에서 21조8천억원으로 36조8천억원 급감했다. 반대로 국내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운용 규모는 2조9천억원에서 13조4천억원으로 뛰었다.
가계의 2분기 자금 조달액은 모두 14조6천억원으로, 1분기(1조4천억원)보다 13조원 이상 늘었다. 주택매매 증가와 함께 금융기관 차입(대출)이 -2조9천억원(대출 상환 우위)에서 14조5천억원으로 불어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경우 2분기 순자금 조달 규모가 23조7천억원으로 3개월 새 22조원 가까이 늘었다. 기업 순이익은 축소됐지만 고정자산 투자가 늘어 금융기관 대출을 중심으로 기업의 자금 조달이 증가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일반정부의 2분기 순조달 규모(1조1천억원)는 역대 최대 기록이었던 1분기(50조5천억원)와 비교해 급감했다. 1분기 급증한 지출이 줄었기 때문이다.
한편,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국토부 국정감사에 "수도권, 서울지역의 주택 가격 상승세가 8·8 대책과 8·20 수요관리대책 이후 상당히 멈칫하거나 주춤한 상황"이라며 "전국적으로 집값 안정세가 유지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2분기, 가계 여윳돈 36조 줄고… 기업은 23조 조달
입력 2024-10-07 20:16
수정 2024-10-07 20:16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10-08 1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