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지턱 높아서 버스 고장날 거 같다는 게, 감차 이유인가요?”
경기도 내 일부 구간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서울시가 터무니없는 이유로 운행 감축에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수요 부족으로 버스를 줄이면서도 ‘저상버스 운행 불가 구간’을 이유로 내걸어 교통약자를 향한 차별을 부추긴다는 것이다.
8일 파주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는 서울 시내버스 774번을 오는 15일부터 기존의 19대에서 10대로 줄여 운행한다고 최근 파주시에 통보했다. 해당 버스는 서울시 은평구에서 고양시를 거쳐 파주시 파주읍을 잇는 노선이다.
그런데 이번 운행 감축에 따라 현재 10분 남짓인 배차시간이 30분 이상으로 불어나 그만큼 주민들의 불편이 커질 전망이다.
파주읍 파주리의 774번 버스 회차지 앞에서 군장품을 파는 김성삼(81) 씨는 “도매상이 모여 있는 동대문에서 물품 재료를 사려고 일주일에 두세번 버스를 탄다”며 “774번이 없으면 불필요하게 문산역까지 멀리 나갔다가 다시 서울 가는 버스를 타야한다”고 토로했다.

서울시와 운수업체가 내민 감차 사유는 기존 버스 차령 만료에 따른 저상버스 변경이다.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에 따라 시외버스를 제외한 노선버스를 대·폐차할 땐 의무적으로 저상버스를 도입해야 하는데, 해당 구간의 방지턱이 높아 운행이 어렵다는 것이다.
9대의 차령이 만료돼 저상버스로 교체해야 하는 상황인데, 차체가 낮은 저상버스의 양쪽 뒷바퀴 사이에 있는 부품(미션)이 해당 노선 내 방지턱 9곳과 맞닿아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이유다.
하지만 해당 구간 특성상 적은 이용객 탓에 수익성이 나지 않는 점이 운행 감축으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나온다.
이재민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 정책실장은 “수익성이 있었다면 저상버스 ‘예외 노선’으로 승인 받고 계단이 있는 고상버스를 도입하는 등 대안을 찾았을 것”이라며 “늘어난 배차간격으로 주민들 민원이 증가할 텐데, 지자체가 손 쉽게 설명하고 넘기려고 저상버스 대안을 갖고 와 교통약자 차별과 혐오만 조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해당 노선에 대해 지난 5월 서울시가 경기도에 폐지를 통보한 뒤 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를 이어가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이에 파주시 관계자는 “운수업체에서 버스를 갖고 실사 나왔을 때 버스 부속과 방지턱이 500㎖짜리 생수병 하나 정도밖에 차이나지 않아 손상 우려가 있긴 했다”면서도 “서울시와 논의가 있었고, 해당 노선이 교통취약 지역이라 버스노선 신설 등 대안에 관한 논의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