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근 시장이 10월 10일 의정부문화역 이음에서 열린 ‘미래가치 공유의 날’에 시민들에게 ‘의정부역세권 개발사업’의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의정부시 제공
김동근 시장이 10월 10일 의정부문화역 이음에서 열린 ‘미래가치 공유의 날’에 시민들에게 ‘의정부역세권 개발사업’의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의정부시 제공

김동근 의정부시장이 의정부역세권 개발사업의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김 시장은 10일 의정부문화역 이음에서 열린 ‘미래가치 공유의 날’에서 시민들에게 의정부역세권을 고밀·복합 개발하는 개발 계획의 청사진을 설명했다.

의정부역세권은 각종 행정, 업무, 상업 기능이 밀집해 있지만, 철도와 공원이 도심을 분절해 보행 환경이 불편하고 지역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주변에 소규모 점포와 전통시장이 혼재돼 있으며, 1980년대 이전에 지어진 건물이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등 저층의 낙후된 건물과 유흥시설 때문에 경제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

김 시장은 이런 의정부역세권을 재구성해 보행 환경을 개선하고, 생활권 통합을 통해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자족도시로의 성장과 더불어 의정부역을 미래 교통 및 경제 거점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김 시장은 “의정부역세권 개발사업은 단순한 도시개발을 넘어, 미래세대의 생활 기반을 결정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의정부역을 살려야 과거 군사도시 이미지의 의정부를 교통, 경제, 교육의 중심지로 재탄생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동근 시장이 10월 10일 의정부문화역 이음에서 열린 ‘미래가치 공유의 날’에 시민들에게 ‘의정부역세권 개발사업’의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의정부시 제공
김동근 시장이 10월 10일 의정부문화역 이음에서 열린 ‘미래가치 공유의 날’에 시민들에게 ‘의정부역세권 개발사업’의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의정부시 제공

앞서 시는 지난 7월 의정부 역세권을 시의 랜드마크로 개발하는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시의 계획은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도시계획 혁신 방안’과 맞물릴 경우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는 기존 도심 내에서 변화 잠재력이 있는 지역에 용도 및 밀도 제한이 없는 개발사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시혁신구역’ 후보지로 의정부역 일대를 선정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