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0101000001700033951

오늘이 '세계 비건의 날'이다. 1944년 영국에서 비건소사이어티가 결성되면서, 비건(Vegan)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후 1994년 창립 50주년을 맞아 11월 1일을 '세계 비건의 날'로 지정해 매년 기념하고 있다. 비건은 애초에는 유제품까지 먹지 않는 엄격한 채식주의자를 뜻했다. 이후 1951년경 동물 착취 제품의 소비를 거부하는 소비자운동인 비거니즘(Veganism)으로 개념이 확장됐다.

a²+b²=c² '피타고라스 정리'로 유명한 그리스 수학자이자 철학자 피타고라스(기원전 570~495년경)는 채식주의자의 조상으로 불린다. 피타고라스는 윤회와 사후의 응보를 믿었다. 현재는 인간이어도 다음 생에는 돼지로 환생해 베이컨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피타고라스는 절제된 식생활뿐 아니라 의복에서도 비건을 실천했다. 가죽과 양털 옷 대신 흰색의 식물성 망토를 입고 비거니즘 라이프를 전파했다.

비건은 까다로운 별종들만의 취향이 아니다. 하나의 소비 트렌드이자 산업이다. 세계 비건 인구는 8천800만명(2023년)으로 약 1.1%에 해당한다. 유연한 채식주의자까지 합치면 14%에 달한다고 한다. 세계 비건식품 시장은 160억5천만 달러로 연평균 13.8% 상승, 베지노믹스(Vegenomics)라 칭할 정도로 성장했다.

한국에서도 식품, 화장품, 의류, 생활용품 등 다양한 비건 제품들이 생활 곳곳에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30세대의 가치소비 트렌드를 따라 식품·화장품업계가 비건 상품들군을 쏟아낸 덕이다. 육류와 거리가 먼 불교계의 역발상도 유쾌하다. 구례 화엄사는 콩단백질 패티를 넣은 세계 최초 '사찰 비건버거'를 탄생시켰다. 패션계는 '애니멀·PVC 프리'에 골몰한다. 콧대 높은 브랜드들도 모피(Fur)를 포기하고 탄소중립 다운재킷을 출시했다. 사탕수수 섬유뿐 아니라 비건 가죽도 만든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버섯곰팡이로 가죽을 대체할 소재 기술을 독자개발해 특허까지 출원했다.

환경보호, 동물복지, 건강, 종교, 윤리, 취향 등 비건의 동기가 무엇이든 상관없다. 육류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실험실 안의 동물을 사라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365일 내내 채식과 가치 소비를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세계 비건의 날' 하루만이라도 지속가능한 지구에 이로운 삶을 고민할 가치는 있다.

/강희 논설위원